![]() |
▲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회 위원장이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회 자영업·소상공인 TF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2021년 새해를 맞아 정치권 등 각계에선 개혁을 통한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자고 다짐하고 있다.
옳은 말이다. 우리 사회 전진을 가로막고 공동체적 건전가치를 훼손하는 기득권과 낡은 관행을 들어내는 한 해가 돼야 한다.
2022년 3월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사회적 쟁투와 혼란도 가중될 전망이다.
정치는 흥정과 셈법이 아닌 진정어린 정성으로 국민을 위하는 새로운 대한민국의 길에 나서는 게 옳은 길이다. 국제적으로도 코로나19의 조기 종식과 퇴치와 코로나 이후 세계질서 변화, 미국 조 바이든 새 정부 출범과 대외정책, 일본의 한반도 정책과 북한의 동향 등이 중요이슈가 될 것이다.
사실 한국경제가 오랜 내수 침체에다 수출 환경마저 악화되고 있어 활로 모색이 시급하다. 특히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서민들의 삶이 고달프다.
유동성 위기란 예·적금을 깨고 채권, 주식 등 금융자산을 팔아도 먹고사는 기본적 씀씀이와 만기도래 차입금을 상환하기 어려운 상황을 말한다.
이는 코로나19로 올해에도 자영업자 매출이 나빠지고 정부·금융회사가 소상공인에 대해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를 오는 3월31일 만료한다는 시나리오에 근거한 추정치다.
이처럼 유동성 위기를 겪는 자영업가구 비중은 코로나19 직전인 지난해 2월만 해도 2.3%에 불과했다.
한은은 지난해 분기별 재무제표 공시기업 2298곳 중 이자보상배율 1배 미만인 기업 비중은 이자보상배율이 내년 39.1%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로 올해 기업 매출이 전년 대비 1.7% 줄어든다는 ‘비관적 시나리오’가 현실화한 것을 전제로 계산한 것이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이 비율이 1배 미만이라는 것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물론 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은 2020년 3분기 말 0.22%로 전년 동기 대비 0.07%포인트 하락하는 등 대출건전성 지표는 좋아지고 있다. 하지만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치솟는 가계부채를 경계해야 한다.
국가채무는 처음으로 800조원을 넘어섰다. 그나마 기업 활동이라도 활발해야 세수가 확보돼 나라살림이 안정될 텐데 기업은 각종 규제 탓에 힘들다고 하소연하는 실정이다.
최근 정부가 밝힌 부동산 공시가격 인상 방침은 지나치게 낮은 과세기준 현실화라는 명분에도 증세 비판까지 받고 있다.
정부는 불요불급한 예산 지출을 줄이는 재정건전성에 힘쓰길 촉구한다.
정부와 기업, 가계의 협력으로 경제를 살려 민생을 두텁게 하는 2021년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