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곳 중 8곳…임대료·관리비·인건비 등 부담으로 생계 막막
 |
▲여행업계가 코로나19 타격으로 고사 위기에 몰리는 등 허덕이고 있다. (그래픽=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최경서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여행 업체의 휴·폐업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고사 위기에 몰리는 등 여행업계 전체가 신음하고 있다.
18일 한국여행업협회(KATA) '전국 여행업체 실태 전수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충북 여행업 등록 업체(154곳)가 꼽은 가장 큰 고충은 '사업장 임대·관리비(48.7%)' 였다.
인건비 부담(33.8%), 4대 보험료 및 제세부담(5.2%), 국내외 지사운영비 부담(5.2%), 예약금 환불처리(4.5%)가 뒤를 이었다.
영업을 중단한 업체는 39.6%였다. 중단 후 재개 3.6%, 계속영업 중인 업체는 56.5%였다.
여행사 중 여행객을 모집하는 ‘아웃바운드’ 업체 111곳 가운데 76.6%가 전년에 견줘 매출이 100% 줄었다고 응답했다. 90% 이상 100% 미만 감소한 업체는 21.6%를 차지했다.
'인바운드' 업체 18곳 중 77.8%도 전년 보다 매출이 100% 줄었다고 했다. 90%이상 100% 미만은 22.2%였다.
여행 업체 상당수가 정부의 경영안정지원금·고용유지지원금을 받아 사업장을 가까스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여행사 중 24%는 정부 융자지원 자금을 빌려 썼다. 21.4%는 경영안정지원금을 받아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매출 절벽에 인건비, 4대 보험, 사무실 임대료 등 비용이 누적되면서 업체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경영안정 자금은 원금을 상환하지 못하면 폐업이 어려운 실정이다.
충북관광협회 관계자는 "여행업은 집합제한·금지 업종이 아닌 일반업종으로 분류돼 코로나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들처럼 정부 지원 혜택을 받지 못한다"며 "정부 지원 없이 업계의 자구 노력 만으로는 경영 위기를 극복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행업을 집합금지(연장) 업종에 준하는 지원대상으로 상향 조정하고, 손실보상 관련 특별법안에 '관광업종'을 집합금지 소상공인 업종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