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反)성매매 시민참여 플랫폼’신고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서울시는 생활 속에서 발견되는 성매매 유인 광고와 같이 불편하고 유해한 정보들을 시민들이 손쉽게 감시·신고할 수 있는 다양한 성매매 방지 사업들을 운영하고 있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2011년부터 불법 성산업에 대한 감시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민들이 함께 참여하는 ‘인터넷 시민 감시단’을 운영하고, 오프라인 시민 감시단 ‘왓칭유(Watching You)’도 조직해 지역사회 내 불법 성매매 업소를 감시, 불법 옥외광고물을 신고하는 시민 감시망을 구축·운영 중이다.
이에 더해 서울시는 성매매 방지에 대한 공감대 확산과 시민 신고 참여 확대를 위해 10월 8일까지 온라인 인식개선 캠페인 ‘슬기로운 감시생활: 코로나19 위험, 성매매를 방역하라!’를 진행한다.
이번 온라인 캠페인은 코로나19 상황에도 단속을 교묘히 피해 온라인과 음지로 파고드는 성매매 유인 광고들을 시민들이 직접 찾아 신고해 성매매를 방역 하자는 취지다.
일상 속에서 보게 된 성매매 알선 광고들은 시민 누구나 ‘반(反)성매매 시민참여 플랫폼’을 통해 신고 가능하다.
온라인 플랫폼은 기관별로 흩어져 있던 성매매 관련 신고창구를 한 곳에 모아 원스톱으로 신고 처리할 수 있게 사이트로 성매매 전단지, 온라인 광고, 문자, 성매매업소, 아동·청소년 대상 성매매 등이 신고·제보 가능하다.
‘인터넷 시민 감시단’은 올해 신규 1,000명을 신규 모집해 주부, 대학생, 직장인, 프리랜서, 활동가 등 다양한 분야의 20대에서 7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가 활동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온라인 사용이 늘어난 점을 파고들어 불법 광고물 또한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인터넷 시민 감시단’은 올 상반기에만 54,152건의 성매매 유인 광고물을 적발했다. 작년 같은 기간대비 40% 증가한 수치다.
서울시는 이중 49,443건을 규제기관에 신고했다. 신고 내용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출장안마, 애인대행, 조건만남 알선·홍보가 3만9,847건(80.6%)으로 가장 많았고 ▴성매매 암시 용어, 가격 조건, 연락처, 이용후기 등을 통해 업소로 유인하는 광고가 6,276건(12.7%) ▴성매매 알선 사이트 등의 이용후기 광고가 2,218건(4,5%) ▴청소년 접근제한 표시가 없는 불법 음란물이 1,102건(2.2%) 이다.
온라인상의 성매매 유인광고들은 코로나19와 관련해 ‘위생’과 ‘안전’을 우선한다는 문구를 넣거나, ‘마사지업소’ 등이 행정당국의 인‧허가가 필요 없는 자유업종으로 구분돼 방역 사각지대라는 점을 노려 ‘출장안마’, ‘마사지업소’ 등으로 위장, 집합금지 영업제한과 무관하게 영업을 지속한다는 식으로 광고를 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 올해는 성매매 업소의 알선·광고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 업주, 사이트 운영자 등 관련자 91건을 고발했으며, 지난 6년간 ▴행정처분 657건 ▴형사처분 236건 ▴벌금 및 몰수‧추징금 18억 6,555만 원 이라는 성과를 냈다.
올해 ‘왓칭유’(28명)는 신‧변종 성매매업소들이 홍보 수단으로 불법 광고 시설물을 설치하고 있는 점을 착안, 미신고 업소의 이용업소 표시등 부착(공중위생법 위반), 무허가, 기준 위반, 청소년 유해 옥외 광고물(옥외광고물법 위반) 58건을 발견, 19건을 신고해 11건의 시설물이 관할 구청에 의해 철거됐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