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기능 상실 가능성…체계적 지원 시급”
 |
▲ 급격한 고령화로 인한 인구 소멸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전국 읍면동 3분의 1 수준이 인구 제로 위기에 처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사진은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장기적인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우리 사회의 인구 소멸 가능성이 가시화되고 있다. 전국 읍면동 3분의 1가량이 인구 ‘0(제로)’ 위기를 겪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지역 사회의 경제기능 상실이 우려된다. 체계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 2045년 고령화율 35.6% 전망
대한상공회의소가 6일 공개한 ‘대한상의 인사이트’ 온라인 강연에서 유선종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지역의 인구감소, 얼마나 심각한가’라는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유 교수는 “인구노후도·가구노후도·주택노후도 등 3가지 지표로 지역 인구 제로 가능성과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전국 읍면동 3,492개 중 1,047개가 인구 제로 위험에 처했다”며 “전체 읍면동 중 1,904개는 도시재생 또는 농촌정비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유 교수는 인구노후도(65세 이상 인구수를 20∼39세 여성인구수로 나눈 수치)가 2.0 이상인 지역을 ‘인구 제로 가능지역’으로 분류했다.
또 인구노후도가 2.0 이상이면서, 가구노후도(가구주가 65세 이상인 노인가구수를 가구주가 20∼54세인 청년·중년가구수로 나눈 수치)가 1.0 이상인 곳을 ‘인구 제로 위험지역’으로, 주택노후도(40년 넘는 노후주택수를 5년 이하 신규주택수로 나눈 수치)가 1.0 이상인 지역을 ‘도시재생 및 농촌정비 시급지역’으로 각각 구분했다.
이에 대해 유 교수는 “인구 관련 통계의 오류에 속지 않아야 한다”며 “우리나라 전체 고령화율(총 인구 중 65세 이상 비중)은 아직 높지 않고 도시에 젊은이들도 많아 체감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지방 통계를 분석해보면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2015년 기준 우리나라 고령화율은 13.2%로 아직 고령사회(14%)는 아니다”라면서도 “지역별로 분석하면 시군구의 평균 고령화율은 18.7%로 고령사회에 진입했고 읍면동 기준으로도 20.9%로 이미 초고령사회(20%)에 해당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장래인구 추계로 전망하면 오는 2045년 우리나라의 고령화율은 35.6%에 달할 것”이라며 “2015년 기준으로 시군구 중 4곳과 읍면동 중 632개는 이미 고령화율이 35%를 넘어 청년이탈 및 고령화로 인한 도시의 경제적 기능이 상실될 정도로 심각하다”고 했다.
유 교수는 수도권 및 지역의 상생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제한된 예산 등 상황을 감안해 ‘선택과 집중’ 전략에 주목했다. 지방 도시들의 고령화 현황, 자생력 등을 면밀히 분석해 이에 따른 체계적 지원이 시급함을 재차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