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아시아 최고 물류중심지 도약”
 |
▲ 가덕도 신공항 수정안.(사진=세종대)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세종대학교는 주명건 명예이사장이 유니노믹 리뷰 12월호에 ‘가덕도 신공항 프로젝트’라는 주제로 논문을 게재했다고 4일 밝혔다.
세종대에 따르면 이번 논문의 주요 내용은 가덕도 공항을 조금만 수정·보완하면 부산을 세계적 메가시티로 도약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정부에 가덕도 신공항 프로젝트를 수정 제안한다.
이달 ‘가덕도 신공항 건설사업’이 확정됐다. 정부는 약 13조4,900억 원을 들여 3.5㎞의 활주로를 조성해 오는 2029년 12월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정부 부채가 1,035조 원에 달한다는 점에서 14조 원을 들여 가덕도 공항을 건설하는 것보다 방조제를 활용해 강서구 남쪽을 매립하면 오히려 203조 원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게 주 명예이사장의 주장이다.
해당 논문에 따르면 가덕도 신공항 수정안으로 우선 동서방향으로 계획된 활주로를 남북방향 방조제 위에 건설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가덕도에서 다대포까지 방조제로 연결하면 강서구 남쪽 81㎢(2,455만 평)의 매립지를 확보할 수 있다. 부산 평지 면적 17% 늘리고, 토지 매각수익 180조 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부산은 여의도 28배 면적이 확보되면서 세계적 메가시티로 도약하게 된다. 또한 부산 인구 100만 명이 추가 유입되면서 450만 명 거대도시가 된다.
이어 낙동강 하구에서 문경까지 준설사업을 진행하는 편이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가덕도 매립을 위해 낙동강 하구에서 문경까지 337km를 평균 10m 준설하면 약 27억㎥의 준설토가 나온다. 낙동강 준설은 물그릇을 27억 톤 키우게 돼 가뭄과 홍수를 예방한다. 담수량 29억 톤 소양강댐을 만드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는 설명이다.
낙동강 준설토의 83%인 골재를 매각하면 약 23조 원 재원이 확보되고, 17% 사토는 매립토로 쓸 수 있다. 현재 가덕도 공항 건설에 14조 원 예산이 필요하지만, 간척사업으로 수정하면 오히려 203조 원 수익을 거둘 수 있다. 평지 면적이 부족한 부산은 평지 17% 늘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산을 동북아 물류거점 도시로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은 강서구 남쪽 81㎢(2,455만 평)를 매립해 간척사업을 함께 하면 메가시티가 된다.
홍콩 매립지는 2,100만 평으로 총면적의 7%다. 싱가포르 매립지 비중은 2030년까지 30%로 확장된다. 싱가포르 창이공항은 100% 간척지다. 네덜란드 국토 25%가 간척지로 일본, 미국 등 많은 국가에서 간척사업으로 국토를 넓혔다는 주장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