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의료 부실·의료인력 부족 문제 여전
 |
▲ 코로나19 전담병원인 서울 중랑구 소재 서울의료원에서 코로나19 환자가 이송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최근 7,000명대 일일 신규 확진이 속출하는 등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엄중한 가운데 정부는 내달까지 병상 1만 개 확보 방안을 내놨다.
기존 일반 환자용 병상을 비우고, 이 자리를 코로나19 환자 용도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다만 코로나19 치료에 병상을 과도하게 이용할 경우 일반 진료나 수술 등에서 차질은 물론, 인력 부족 문제 역시 여전할 전망이다.
◆ “의료자원 단기간 확충 불가능”
2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1월까지 코로나19 병상 6,944개를 추가 확보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국립중앙의료원과 서울의료원, 보훈병원, 산재병원 등 일부 공공병원 병상을 모두 비워 코로나19 환자 진료용으로 변경한다.
또한 치료센터 약 2,400개 등을 합쳐 총 1만 개가량 병상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정부는 계획대로 병상이 확보되면 일일 1만 명 확진자 규모에도 감당할 수 있다며, 이보다 더 큰 유행에도 대비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김부겸 국무총리는 전날 중대본 회의에서 “방역 상황을 봐가면서 필요시 하루 1만5,000명 규모 확진자도 감당해낼 수 있는 정도의 대책을 미리 준비해둘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전날 밝힌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확보대책은 이미 시행된 행정명령에 따른 158개를 비롯해 상급종합병원·국립대병원 414개, 공공병원 9개, 거점전담병원 추가 확충을 통한 300개 등 총 881개다.
이같은 정부 복안에도 기존 일반 진료를 받거나 향후 수술 등을 앞둔 환자들의 피해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앞서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전날 브리핑을 통해 “현재 가동 중인 병상 규모는 일반 진료에 차질이 없는 수준에서 코로나19를 대응할 수 있는 최대치”라며 “병상을 더 할애할 경우 일반 진료 쪽에서 차질이 불가피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코로나19에 할애하는 과정에서 이른바 의료적 용어로 ‘선택적 수술’ 영역 같은 경우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게 각 병원장 또는 의료현장에서의 의견들이었다”고 부연했다.
또한 의료 인력 역시 단기간 대폭 확충이 불가피한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정부는 일단 군의관·공중보건의 배치 및 중환자실 간호사 긴급 투입 등으로 코로나19 관련 의료인력 1,200명을 증원한다는 계획이지만 현장에서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이와 관련, 손 사회전략반장은 “병상과 인력 모두 갑자기 총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면서 “몇 개월 만에 인력을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코로나19 대유행에 오미크론 변이 확산까지 겹치면서 점차 국내 상황은 더욱 악화 중인 가운데 이번 대책에 따른 병상 등 확보가 사실상 한계치에 다다른 만큼, 향후 유행 규모와 위험도가 이같은 방역 역량을 넘어서지 않도록 적절히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