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집단사직·의대생 동맹휴학 등 반발 확산
공공병원 진료확대·군병원 개방 등 대응
 |
▲ 한덕수 국무총리가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집단행동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진행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최근 전공의 집단사직 및 의대생 동맹휴학 등 의료계 집단행동에 대해 정부는 ‘비대면 진료’ 전면 허용 등 카드로 맞불을 놓고 있다. 이들 간 ‘강대강 대치’가 연일 이어지고 있는 만큼 환자 등 국민 불안감은 더욱 높아지는 모양새다.
◆ 의대정원 증원 필요성 재차 강조
한덕수 국무총리는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의사 집단행동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의료계 집단행동은) 국민 바람에 반하는 안타까운 결정”이라며 “집단행동이 본격화하면 의료공백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의료계 집단행동시 공공의료 기관의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고, 집단행동 기간 비대면진료를 전면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한 총리는 “정부는 전국 409개 응급의료기관의 응급실을 24시간 운영해 비상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할 것”이라며 “응급·중증 수술을 최우선 대응하는 한편, 필수의료 과목 중심으로 진료가 이뤄지도록 체계를 갖추며, 상황 악화시 공보의와 군의관을 투입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공공의료 기관의 비상진료체계도 가동하겠다”며 “97개 공공병원의 평일 진료시간을 확대하고 주말과 공휴일에도 진료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한 총리는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방침에 대한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와 관련, 한 총리은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급격히 고령화가 진행돼 의료 수요가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며 “의사들이 충분히 증원되지 못한다면 지역과 필수의료 분야는 오래 버티지 못하고 무너질 것으로,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이어 “의료계에도 강경한 의견을 내는 분만 계신 게 아니라 정부의 진심과 국민의 고통을 이해하는 합리적인 분이 더 많을 것”이라면서 “정부는 언제나 대화에 열려 있으며, 더 좋은 대안이 나온다면 언제든 수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