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간 10만명…“정점은 찍고 나서 완화 논의돼야”
 |
▲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등을 골자로 하는 새로운 대책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오는 18일 발표할 계획이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10만 명에 육박한 가운데 현재 거리두기 완화를 검토 중인 정부 방침에 비관론이 제기된다.
의료계 일각에선 이미 만연한 현장 피로감에 따른 의료붕괴를 크게 우려하는 모습이다.
◆ 고심하는 정부…18일 새 거리두기 발표 계획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17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9만3,135명으로 집계됐다. 국내 발생은 9만3,045명, 해외 유입 90명이다.
이는 전날(9만443명) 대비 2,692명 늘어난 수치로, 일주일 전인 10일(5만4,120명)보다는 3만9,015명 급증했다.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389명으로 전날(313명) 대비 76명 증가했다. 이날 사망자는 36명 증가해 누적 사망자는 7,238명이며, 치명률은 0.44%를 보이고 있다.
최근 ‘더블링’ 심화 등 이틀 연속 9만 명대 신규 확진자 수가 나오며 오미크론 확산세가 더욱 거세진 가운데, 정부는 오는 18일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를 예고한 상태다.
앞서 정부는 ‘확진자 수 억제’ 방침에서 이른바 ‘셀프방역’을 토대로 한 ‘위중증·사망 관리’ 체계로 전반적인 방역 방침을 전환한 바 있다. 이번 발표에서 현행 거리두기 조치를 완화할 가능성이 제기된 이유다.
다만 일각에선 이같은 거리두기 완화 가능성이 자칫 의료현장 붕괴는 물론, 정부가 꾀하는 민생 안정에도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론이 제기된다. 이미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은 거리두기 관련 정부 방역조치를 크게 불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 15일 자신의 SNS에 “거리두기를 완화하려면 먼저 늘어나는 환자 관리가 가능한지 보여주시길 바란다”고 우려했다.
이어 “요양원, 요양병원, 정신의료기관, 급성기 병원(급성 질환이나 응급질환으로 입원할 수 있고 급성기 동안의 치료를 주로 담당하는 병원) 어디 하나 빼지 않고 종사자·환자로부터 감염이 급증하고 있다”며 “적어도 정점은 찍고 나서 거리두기 완화를 논의해 주셨으면 한다. 이미 현장은 지옥”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여전히 오미크론 유행의 정점을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방대본은 내주 신규 확진자 수가 최대 17만 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관측했다. 고재영 질병관리청 대변인은 최근 “상황이 급변하고 있어 유행 정점 도달 시점과 규모를 예측하려면 관찰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가수리과학연구소(수리연)는 확진자 수가 다음 달 2일 최대 36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며 정부 관측과 다소 동떨어진 수치를 내놓기도 했다. 지금까지 수리연 예측이 현실과 근접하게 실현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간과할 수 없다는 평가다.
실제 최근 들어 확진자 수는 매주 ‘더블링’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 1주간(2월 10~16일) 주간 확진자 수는 42만1,650명으로 전주(24만6,924명) 대비 1.71배로 증가했다. 2주 전(12만1,326명)에 비해선 3.48배 급증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일상회복지원위원회 회의를 거쳐 오는 18일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확정·발표한다. 정부는 현행 ‘사적모임 6인·영업시간 오후 9시’ 방침을 ‘8인·10시’ 등으로 다소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