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채용과정서 영향 끼쳤을 가능성
 |
▲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지난달 31일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열린 고위직 자녀 특혜 채용 의혹 관련 긴급위원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퇴직 간부 자녀 4명이 전원 ‘아빠 소속 지역 선관위’에 경력직 채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아빠’ 선관위 간부가 자녀 채용과정에서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인천 2명·충북 1명·충남 1명 등 파악
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전봉민 국민의힘 의원실이 선관위로부터 제출받은 ‘5급 이상 공직자 자녀 채용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천선관위 2명, 충북선관위 1명, 충남선관위 1명 등 퇴직 공무원 4명 자녀 모두 자신의 부친이 근무한 시도선관위에 경력 채용됐다.
이들 부친은 앞서 의혹이 제기된 선관위 전·현직 간부 6명 외 추가 전수조사 과정에서 드러난 4급 공무원이다. 통상 시도선관위 4급 공무원은 과장직을 수행하는데 근무지 변경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들이 근무할 당시 자녀가 채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먼저 인천선관위 간부였던 정모씨와 김모씨의 자녀는 2011년 11월 7급, 2021년 9월 8급으로 각각 경력직 채용됐다. 이어 충북선관위 4급 김모씨의 자녀는 2020년 1월, 충남선관위 4급 송모씨 자녀는 2016년 1월 각각 7급으로 경력채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앞서 의혹이 제기된 박찬진 사무총장 등 전현직 5명 자녀의 경우 부친이 재직하던 곳과 다른 지역에서 채용된 것과 달리, 이번 드러난 4명 자녀는 부친이 소속됐던 지역 선관위에 채용됐다는 점에서 특혜 가능성이 더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선관위는 퇴직자를 상대로 추가적인 자체 감사를 진행한 뒤 수사 의뢰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