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계부채 등 부담 분석
 |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한국은행이 아홉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같은 결정은 물가 및 가계부채 증가세 등이 부담으로 작용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 지난해 2월 이후 1년간 동결 기조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2일 오전 서울 한은 본부에서 2월 통화정책 방향 결정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3.5%로 동결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뒤 1년간 유지된 셈이다.
한은의 이번 금리 동결 배경으로 먼저 물가상승률이 목표치(2%)까지 충분히 떨어지지 않는 등 물가 상황이 불확실하다는 점이 꼽인다.
지난 1월 물가상승률은 2.8%로 6개월 새 2%대로 하락한 반면, 신선식품지수가 7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보이는 등 생활물가는 불안한 상황이다. 또한 중동 분쟁이 지속되면서 국제유가 불안에 따른 물가 불확실성도 여전하다.
가계부채 증가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이번 결정의 배경으로 지목된다. 지난해 가계빚은 1,886조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가운데, 이로 인한 취약차주와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등의 위험성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움직임도 요원하다. 미국 내 물가 상승세도 쉽게 꺾이지 않고 있어 1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내달 금리인하 가능성을 크게 줄였다는 평가다.
한은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경우 현재 2%포인트 수준인 한미 금리 역전차가 확대하면서 외환시장 전반에 불안감을 키울 수 있다.
한편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 전망’을 발표했다. 이 전망에서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2.1%, 소비자물가상승률을 2.6%로 각각 전망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