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사진 왼쪽)가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대한민국 성장과 공정을 위한 국회 포럼'에서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의 장기화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업 등이 힘겹게 영위되고 있다.
경제의 실핏줄 같은 중소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정부는 해외로 나간 기업의 국내 유턴을 독려하기 위해 최대 100억 원 보조금을 지급하고, 일부만 복귀해도 3년간 법인세 면제하는 등 '유턴기업'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었다.
한데 해외로 나간 기업 대부분은 돌아올 생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턴을 고려하는 기업은 단 1.3%로 조사에 참여한 150곳 가운데 2곳에 불과한 것이다.
무려 96%가 국내로 돌아올 계획이 없다는 의사를 보였다니 층격적이다. 정부 정책의 일대 전환이 요청되고 있다.
필지를 소규모로 분할하고, 임대료는 기존의 3분의 1 수준으로 낮춰 공급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공공임대 산업단지 확대 공급계획을 수립하고, 임대용지 및 임대건물 규모, 임대료 산정 방식 등을 담은 ‘경기도형 공공임대 산업단지 모델’을 전국 지자체 최초로 만들어 경기도는 물론 전국 어떠한 산업단지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길을 열겠다는 구상이어서 기대된다.
글로벌시대에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 육성이야말로 한국 경제의 활로를 여는 일이어서 의미가 크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