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아베스틸 전경. ⓒseahbesteel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세아베스틸은 군산공장 소형압연 생산라인에 머신비전 기술을 활용한 혁신 시스템을 도입, 업무의 효율성을 크게 개선했다.
머신비전이란 기계‧로봇 등에 인간이 가지고 있는 시각과 판단 기능을 부여해 사람이 인지, 판단해 오던 것을 시스템이 더욱 고차원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세아베스틸은 이같은 머신비전 기술을 적극 활용한 ‘스파크 자동판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특수강 강종 고유의 특성에 따라 마찰 시 발생하는 스파크 형태가 상이하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된 머신비전 솔루션이다.
기존에는 작업자가 제품에 스파크를 발생시켜 육안으로 형태를 확인하고 주관적 판단에 의존해 이종(異種) 강종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하지만 이번 시스템은 로봇 팔이 발생시킨 스파크의 형태를 설비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분석 과정을 거쳐 이종 강종을 자동으로 구분하는 방식으로, 작업 편의성 및 정확도가 높아졌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특히 세아베스틸은 ‘스파크 자동판정 모니터링 시스템’의 강종 판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난 1년 6개월 간 각 강종의 제품표면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시켜 2만여 건의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
실제 특수강 제품의 경우 일반 철강제품과 달리 내구성 및 내열성 등 수요처가 원하는 강종의 스펙으로 제품을 생산‧납품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제품 판정 오류로 다른 성질을 지닌 강종이 혼입되면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세아베스틸은 이종 강종 혼입을 막고 제품 관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다각도로 해결 방안을 모색해왔다고 설명했다.
세아베스틸 관계자는 "세아베스틸이 2018년부터 9개년 계획 하에 추진 중인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 성과가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위험요소와 업무 비효율을 제거함으로써 안전한 공장과 최상의 품질을 구현하는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