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딜일자리-‘약자동행형’, ‘경력형성형’ 181개
안심일자리- 경제‧신체‧사회안전 등 1,633개
 |
| ▲ 서울시는 생산성과 일자리 사다리 기능을 할 일자리를 운영한다. (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서울시는 ‘공공일자리 사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취업 취약계층의 자립기반을 다져, 공공일자리 사업의 기본 취지인 ‘일자리 사다리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1,814개의 공공일자리 사업을 선정해 2023년부터 추진한다.
그간 생계지원적 관점에서 인식됐던 ‘공공일자리’ 사업의 재원투입 효과를 높이고, 실제 기업과 시장에서 필요한 일자리 수요를 확보해 실제 취업 연계를 높일 수 있는 사업 위주로 선정했다.
▲ 서울시민 안심일자리– 생산성 강화 및 자조기반 사업 개편
출퇴근 밀집현장 관리 등 시민 안전확보를 위한 일자리와 사회 취약계층이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면서 자립할 수 있는 일자리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한다.
2023년 상반기에만 총 1,633개 사업(6,840명 규모)을 선정해 운영한다.
내년에도 물가‧금리‧환율 3고(高) 현상 지속이 예상돼 연간 계획규모의 약 70%를 상반기에 편성해 경제상황 악화에 대응할 계획이며, 2023년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소요재원을 추가 확보해 취약계층에 필요한 사업을 적극 발굴할 예정이다.
먼저, 지하철 이용시민의 안전 확보를 위해 내년 상반기에만 총 855명이 투입된다. 출근 시간대 지하철 혼잡도가 높은 29개 역사에 2인 1조로 활동할 수 있는 225명을 배치하고, 퇴근‧야간 시간대 지하철 안전 강화를 위해 지하철 265개 전 역사를 대상으로 2인 1개조, 630명을 배치해 운영한다. 퇴직 경찰·군인, 경비·경호업체 경력자 등을 중심으로 선발해 공익적 사업에 대한 중장년 일자리 확보로도 연계한다.
실업자, 일용근로자 등 사회 취약계층이 긴급복지 가정발굴, 장애인 일상 생활 지원 등 일손이 부족한 현장에서 활동하며, 사회 안전망 강화에 참여하도록 운영된다.
참여 대상자는 정기소득이 없는 일용근로자 등의 취약계층이다. 상‧하반기 각 5개월 20일 동안 1일 58,000원(1일 6시간 근무 기준)과 공휴일 유급휴가를 보장받을 수 있다. 일부 사업의 경우 전문기관과 연계한 사전 직무교육을 통해 참여자들의 업무 적응을 돕는다.
서울시 홈페이지와 서울시 일자리포털에서 사업별 자격요건, 업무내용, 근로조건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오는 15일까지 주소지 동주민센터에 방문해 접수하면 된다.
▲ 서울형 뉴딜일자리–공공형 사업공모, ‘약자동행형’과 ‘경력형성형’
약자동행형 74개 사업, 경력형성형 107개 사업, 총 181개 사업(약 2,000명 규모)을 선정했다.
참여자는 미취업 서울시민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1년간 경력을 쌓으며 서울형 생활임금(시급 11,157원)과 공휴일 유급휴가를 보장받을 수 있다. 뉴딜일자리의 일 경험이 기업의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직무와 취업역량 교육도 지원한다.
또한, 참여자들이 스스로 취업 역량을 개발하고자 하는 스터디 활동, 취창업 동아리, 구직 활동(서류제출, 면접 등)을 근무시간으로 인정하는 등 자기주도적 활동을 지원한다. 아울러, 연간 15만 원까지 자격증 취득(연 3회, 회당 5만 원) 비용도 지원한다.
특히, 내년에는 공공형 일자리 참여자에 대한 전문교육을 강화한다. 사업 참여 초기 단계부터 직무와 취업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참여자에 대해서는 총 160시간의 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해 전문성을 높이고 ‘일자리 경력관리사’ 10명을 배치해 구인-구직 매칭기회 확대 등 참여자의 구직활동을 집중 지원한다.
뉴딜일자리 참여를 원하는 시민은 1월 9일부터 서울일자리포털과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사업별 자격요건, 업무내용, 근로조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 접수 또는 해당 부서 직접 접수 등 접수 방식에 따라 방문, 우편, 이메일 등으로 접수하면 된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