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관·유통 지연 등 어려움…수요 감안 맞춤지원 필요
![]() |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이달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세계적 수요 감소로 반도체·승용차·석유제품 등 주요 수출 품목들이 대부분 부진했다. 경기 평택항 수출선적부두에 완성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최경서 기자] 중소·중견 수출기업 대부분이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회사 경영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을 위해 수요·기회요인 등을 감안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산업연구원은 3일 이런 내용을 담은 '중소·중견 수출기업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 분석 및 지원 대책' 보고서를 발표했다.
산업연구원은 설문조사를 통해중소 수출기업 301곳 가운데 10곳 중 6곳 이상인 65.8%가 코로나19로 부정적 영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마찬가지로 중견 수출기업 99곳의 경우 이 비율이 63.6%에 달했다.
주요 사례에는 '통관·유통 지연', '수출용 원·부자재 조달 곤란', '수출 마케팅 관련 행사 취소' 등이 꼽혔다.
기업들은 이런 부정적 영향이 2분기에 접어들수록 더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기회요인 조사는 '이연 수출의 급증'(37.2%), '항바이러스 제품 수출 증가'(23.4%), '온라인 수출 확산'(16.0%), '제3국에 의한 자사로의 거래선 전환'(16.0%), '원자재 가격 하락'(5.3%), '경쟁기업의 수출 영업 중단'(2.1%) 등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중견기업보다 중소기업이 더 많은 부정적 영향에 노출돼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커질 경우 실적 악화를 넘어 수출 체력 고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각적인 지원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보고서는 "코로나19와 같은 돌발·위기 사태 상시화 가능성을 감안할 때 반복되는 위기와 기회 속에서 중소·중견기업의 혁신과 변혁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 체계 강화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