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증가세 멈출 수 있을까
 |
▲ 3분기 은행의 가계대출 문턱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3분기가 시작된 올해 은행권의 가계대출이 더욱 엄격해질 전망이다.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 및 신용 위험도 악화 등 요인으로 대출 문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점쳐지면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멈출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 정부, ‘가계대출 억제’ 강공 드라이브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3분기 대출태도 지수(-3)는 2분기(7) 대비 10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분기 대출 심사조건을 강화하거나 대출 한도를 낮추는 등 방식으로 전체적인 대출 규모를 줄이겠다는 은행 측 의사가 반영된 것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월 14일부터 25일까지 시중 17개 은행을 포함한 201개 금융기관 여신 총괄책임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대출 주체별 대출태도를 살펴보면 가계 주택대출 및 일반대출 모두 –18로, 전분기(-9·0) 대비 대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최근 은행들이 기업대출보다 가계대출을 더욱 엄격히 심사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어 대출상환 위험도를 평가하는 신용 위험도 더욱 커졌다는 응답이 많았다. 은행들이 예측한 3분기 신용위험지수는 18로, 2분기(10) 대비 8포인트나 뛰었다. 신용위험지수 변화를 대출 주체별로 보면, 특히 2분기 6에 그친 가계에서 3분기 18로 12포인트나 증가했다.
정부는 최근 향후 가계부채 증가율을 5~6% 선에서 억제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 4월 차주단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와 비주택담보대출에 대한 담보인정비율(LTV)규제 등을 포함한 ‘가계대출 관리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달부터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등에서 6억 원이 넘는 주택을 담보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받을 경우, 소득과 무관하게 1억 원 이상 신용대출을 이용하면 차주단위 DSR 규제가 적용된다. 은행권에서 40%, 비은행권에서는 60%가 각각 적용된다.
국내 가계부채 잔액은 올 1분기 기준 1,765조 원에 달한다. 정부·금융권에서 일제히 ‘가계대출 조이기’ 행보를 보이고 있는 배경으로 풀이된다. 이는 특히 가계대출 총량 자체가 크게 늘어난 데다 증가세 역시 가파른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