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부터 접수
단열 창호, 고효율 조명 교체 등 에너지 성능개선 공사비 0% 금리 융자
 |
▲ 민간 건물 에너지효율화 시공 전후 비교 (사진=서울시)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서울시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노후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2023년 건물에너지효율화(BRP) 융자지원을 시작한다.
건물에너지효율화(Building Retrofit Project)란 고효율 자재(창호, 보일러, 조명 등) 교체 등을 통해 건물의 비효율적인 요인을 개선하고 이용효율을 높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이다.
시는 지난해 시민들의 높은 호응으로 사업 예산을 당초 35억 원에서 109억 원까지 증액한 점 등을 감안해 올해 지원 규모를 120억 원까지 확대했다.
지원대상은 사용 승인 후 10년이 지난 노후주택이나 건물로, 단열창호, 단열재, 고효율 LED 시공 등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공사를 진행할 경우 건물은 최대 20억 원, 주택은 최대 6,000만 원까지 대출 가능하며, 융자금은 8년 이내 원금 균등분할 상환하면 된다.
건물에너지효율화(BRP) 지원 시스템을 통해 신청서를 접수하면 서울시 융자 심의위원회를 개최해 적합‧타당성 등을 심의하고, 공사가 끝나면 약정된 금융기관의 대출 절차에 따라 공사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올해는 융자 지원범위를 고기밀성 단열문까지 확대하고, 지원절차도 간소화하는 등 사업내용을 개선했다.
현관문의 경우 2001년 이후 단열문의 설계기준이 적용돼 이전에 설치된 노후화된 문은 단열성능이 떨어져 고기밀성단열문(KS F 2297 규정 적합)으로 교체할 경우에도 지원하기로 했다.
서비스 가입 절차도 간편해졌다. 기존에는 서울시 에코마일리지에 의무적으로 가입한 후 서울시 건물에너지효율화 지원 시스템에서 신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앞으로는 서울시 건물에너지효율화 지원 시스템 회원가입 후 바로 신청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다만, 융자금 적정 지원 및 시공 내역의 적정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단열창호는 1~3등급 에너지소비 효율등급 라벨이 부착된 창호에만 지원하고, 대출 추천서 발급 전 현장 점검 단계를 추가할 계획이다.
오는 2월 6일 건물 에너지효율화 사업에 관심 있는 건물‧주택 소유자, 시공업체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한다.
설명회에서는 건물 에너지 성능개선과 관련된 서울시 정책을 소개하고, 올해 달라진 건물 에너지효율화 지원사업의 내용 및 절차에 대해서도 안내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