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대러 스위프트 제재에도 동참
 |
▲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28일 서울 중구 주한러시아대사관 앞에서 열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단·평화적 해결 촉구 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부는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와 관련해 러시아에 대한 국제사회 제재에 동참한다.
◆ “우크라 인도적 지원 증가 방침”
외교부는 28일 보도자료를 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와 관련해 대러 전략물자 수출을 차단한다”며 “우리 정부는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배제에도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먼저 정부는 수출통제 허가 심사를 강화해 대러 전략물자 수출을 차단할 방침이다. 특히 비전략물자에 대해서는 관계부처 간 조치 가능한 사항을 검토해 조속히 확정할 계획이다.
비전략물자는 미국 측이 독자적으로 통제하는 저사양 품목 57종으로, 전자(반도체), 컴퓨터, 정보통신, 센서·레이저, 항법·항공전자, 해양, 항공우주 등이 이에 포함된다.
또한 우리 정부는 러시아에 대한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배제에도 동참한다. 구체적 방안에 대해서는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미국과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캐나다 등 주요국가는 지난 26일(현지시간) 러시아 은행들을 스위프트 결제망에서 배제하는 추가 제재안을 발표한 바 있다.
스위프트란 금융 거래를 위한 글로벌 메시지 시스템으로, 약 200개국 1만1,000곳에 달하는 은행을 연결해 국경 간 빠른 결제를 가능토록 하는 금융 결제망이다. 여기서 배제된 금융기관의 경우 국제 결제가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외교부는 “아울러 우리 정부는 국제 에너지 시장의 안정화를 위한 전략 비축유 추가 방출을 추진하고, 액화천연가스 유럽 재판매 등 방안에 대해서도 추가 검토해나갈 것”이라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적 지원도 국제사회 공조 속에서 증가시킬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