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노동 정부 투쟁 일환…금속노련 진압 묵과하지 않을 것”
 |
▲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 등 조합 지도부가 7일 오전 전남 광양시 한국노총 광양지부 회의실에서 열린 제100차 긴급 중앙집행위원회에 참석해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대통령 직속 노사정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를 전면 중단한다.
◆ 금속노련 강경진압 논란 촉발
한국노총은 7일 전남 광양 지역지부 회의실에서 열린 제100차 긴급 중앙집행위원회 논의 결과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국노총의 이번 불참 결정은 박근혜정부 시절이던 지난 2016년 이후 7년 5개월 만이다.
이번 결정은 앞선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금속노련) 위원장 등의 ‘망루 농성’에 대한 경찰의 ‘강경 진압’ 논란으로부터 촉발됐다.
앞서 금속노련 위원장·사무처장은 지난달 29일부터 사흘간 포스코 광양제철소 하청 노동자 투쟁 지원을 위해 고공 농성에 나섰다. 이들에 대한 경찰 연행 과정에서 ‘강경 진압’ 논란이 빚어진 바 있다.
한국노총은 이를 두고 ‘반노동 정책·폭력 진압’으로 규정, 강력 규탄했다.
이와 관련, 한국노총은 “이것은 결코 묵과할 수 없는 노동계에 대한 강력한 탄압으로, 전 조직적으로 책임을 묻기로 의견을 모았다”며 “오늘 이후로 윤석열 정권 심판 투쟁에 한국노총 전 조직은 함께 큰 목소리로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회의 직후 한국노총은 “윤석열정부 심판 투쟁의 일환으로 한국노총은 경사노위의 모든 대화 기구를 전면 중단할 것”이라며 “경사노위 완전 탈퇴에 대해선 조합원들로부터 위임받은 대로 집행부가 시기와 방법을 논의해 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편 경사노위는 노동 현안 전반에 대해 사회적 대화의 장이 돼온 협의체다. 최근 주5일제, 주52시간 근로제, 탄력근로제 등 우리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만한 각종 노동 현안들이 논의돼왔다.
하지만 윤석열정부 집권 이후 ‘반노동 행보’를 이유로 노동계의 대화 거부 의사가 짙어지는 모습이다. 이미 민주노총은 지난 1998년 이후 경사노위에 참여하지 않고 있어 이번 한국노총의 참여 거부로 노동 현안을 둘러싼 사회적 대화는 실종 위기에 처하게 됐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