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국고 통한 전체 치료과정 지원
 |
▲ 정부는 이른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도입시 비용부담 주체는 전액 국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픽사베이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이른바 ‘먹는’ 코로나 치료제의 상용화가 임박한 가운데, 해당 치료제 도입시 비용부담 주체는 국가가 될 것이라는 정부 방침이 나왔다.
◆ “복수 글로벌 제약사와 선구매 협의 중”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3일 “예방접종 시행 과정에서 일부 본인이 부담하는 것과 달리, 코로나 치료의 경우 전액 국가가 부담할 방침”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건강보험과 국가 예산을 통해 전체 치료과정을 국가가 부담해 실질적인 국민의 비용 부담은 없을 것”이라며 “치료제가 도입되더라도 이 원칙은 동일하게 적용될 예정이라 국민 자부담이 없는 체계로 운영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는 현재 1급 감염병으로 지정된 상태다.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치료비용은 전액 국가가 부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현재 국내에서 코로나19 치료제로 쓰이는 ‘렘데시비르’ 투약 비용도 국가가 부담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과 함께 ‘게임체인저’로 거론되는 경구용 치료제는 현재 국내는 물론 세계 각국의 제약사가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한국 정부가 주목하고 있는 미국 머크사는 이르면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먹는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의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임상 3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한편 우리 정부는 올해와 내년에 걸쳐 약 3만8,000회분 치료제 구입에 예산 362억 원을 책정했다. 1인당 치료제 구매 비용은 약 95만 원 수준이다.
현재 정부는 국산 치료제 개발을 지원하면서도 머크사를 비롯한 복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선구매를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협의 관련 세부사항은 비공개가 원칙이란 게 정부 설명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