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럼은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영상 축사, 기조강연, 정책과제 발표 및 우수사례 공유 순으로 진행됐다.
영상 축사에서 행정안전부 김민재 차관은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할 중대한 과제”라며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사람과 일자리 중심으로 전환하고, 인구감소관심지역 법제화 및 생활인구 등록제 도입 등을 통해 지역이 스스로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기조강연에서는 전영수 한양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인구 위기와 로컬리즘’을 주제로 지역 인구구조 변화가 가져올 도전과 가능성을 진단하고, 대응방향을 제시했다.
이어진 정책과제 발표는 한국법제연구원 최환용 선임연구위원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안소현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생활인구 확충을 통한 인구감소지역 활력 제고방안’을, △양철 강원연구원 연구위원이 ‘인구감소지역 외국인 정주를 위한 지역특화형 비자의 역할과 과제’를 발표하며 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실질적 정책 과제를 제시했다.
현장 우수사례로는 △제천시의 ‘고려인 이주정착 지원사업’ △강진군의 ‘지역을 살리는 1등 공신, 반값여행’ △신안군의 ‘햇빛·바람연금, 생산고용인구 다잡았다’ 등 다양한 지역 기반의 대응 사례가 소개됐다.
송인헌 협의회장은 “인구정책의 핵심은 사람이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지역공동체가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지역을 누구보다 잘 아는 지방 공무원들이 중심이 되어 지역의 변화를 주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세계로컬타임즈 / 김병민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