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오 의원은 도내 다수의 학교에서 채택하고 있는 저수조 경유 수돗물 공급 방식의 위험성과 현황을 언급하며, "학생들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안전한 수돗물 사용 환경을 보장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경기도 내 2,557개 학교 중 약 89.7%에 해당하는 2,294개 학교가 저수조를 통해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으며, 이 중 1,463개 학교는 이를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오 의원은 저수조 경유 방식의 수돗물 잔류염소 농도 문제에 대해 "잔류염소 농도가 기준 이하로 떨어질 경우 세균 증식과 같은 2차 오염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하며, 저수조를 경유한 수돗물의 실시간 수질 관리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오 의원은 △수돗물 수질 실시간으로 측정·관리 시스템 도입, △수질 정보 투명 공개, △수질 오염에 대한 즉각적인 알람 제공 체계 구축 등 학생들의 건강을 보호하고 학부모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안했다.
오 의원은 "경기도가 이 방안을 선도적으로 실현한다면 전국적으로 모범적인 학교 수질 관리 모델을 구축하게 될 것"이라며, 학생과 학부모가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끝으로, 오 의원은 "학교는 학생들이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는 배움의 공간이자, 무엇보다 안전해야 할 곳"이라며, 경기도교육청의 적극적인 검토와 노력을 촉구하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세계로컬타임즈 / 오정희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