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화상으로 열린 기후정상회의에 참석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모두발언을 듣고 있다. 시진핑(모니터 첫째줄 왼쪽부터) 중국 국가주석,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문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
[세계로컬타임즈 이호 기자]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정상회의가 아시아태평양 국가와 중동·유럽·미주 등 주요국 정상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2일 열렸다.
에너지 및 기후에 관한 주요경제국포럼(MEF) 17개 회원국과 문 대통령을 비롯,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 등이 참석했다.
'기후 목표 증진'이라는 세부 주제 아래 열린 이날 제1세션에는 문 대통령 등 27개국 정상 및 각국 관계자들이 자국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3분이란는 제한된 시간에 압축적으로 소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 상춘재 대청마루에 마련된 특별 화상회의장에서 참석한 화상 기후정상회의 제1세션 연설에서 "신규 해외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공적 금융지원을 전면 중단할 것"이라며, "한국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추가 상향해 올해 안에 유엔에 제출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어 "한국은 지난해, NDC를 기존의 배출전망치 기준에서 2017년 대비 24.4% 감축하겠다는 절대량 기준으로 변경함으로써, 1차 상향한 바 있다"며, "2018년에 온실가스 배출의 정점을 기록했고, 이후 2019년과 2020년 2년에 걸쳐 배출량을 2018년 대비 10% 이상 감축한 바 있다"고 소개했다.
정부는 지난해 말 오는 2030년까지 2017년 배출량 대비 24.4%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담은 NDC를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측에 제출한 바 있다. 각국 NDC 취합 결과 파리협정 목표치에 못 미친다는 분석에 따라 좀 더 상향된 NDC 제출을 요구받았다.
올해 중 2050 탄소중립 달성 시나리오와 함께 NDC 상향 종합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문 대통령은 또 "신규 해외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공적 금융지원을 전면 중단할 것"이라며, "탄소중립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를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정부의 노력에 관해 문 대통령은 "출범 후 국내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허가를 전면 중단하고,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10기를 조기 폐지해 석탄화력발전을 과감히 감축했다"며, "대신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5월 말 서울 개최 예정인 '제2차 녹색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P4G)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