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우조선해양은 무려 5년 만에 해양플랜트 수주에 성공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대우조선해양은 무려 5년 만에 해양플랜트 수주에 성공했다. 이번 수주를 두고 기나긴 가뭄을 끝낸 해양플랜트 사업의 부활 조짐이라는 평가로 기대감을 내비쳤다.
대우조선해양은 세계 최대 오일메이저 가운데 하나인 미국 셰브론 사(社)에서 반잠수식 원유생산설비 선체(Semi-Submersible Floating Production Unit Hull) 1기를 수주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해양플랜트 수주는 지난 2014년 약 3조 원 규모의 원유 생산플랜트(TCO프로젝트, 셰브론 지분 50%)를 수주한 이후 5년 만의 일이다.
사측은 내년 상반기 TCO프로젝트가 마무리되면 일감이 떨어질 수 있는 상황에서 적절한 시기 수주에 성공해 일감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상세설계부터 구매, 생산, 시운전, 운송까지 프로젝트 모든 공정을 소화해내면서 해양플랜트 사업의 부활을 꿈꾸고 있다.
이번 계약은 지난 2016년 셰브론사와 맺은 해양플랜트 발주 기본합의서(Frame Agreement)에 따른 첫 번째 결과물이란 데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 합의서에 따라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3월부터 휴스턴 현지에 파견된 인원들과 옥포의 설계인원들을 통해 기본설계 단계부터 프로젝트에 참여해 설계완성도를 높여왔다.
지난 1985년 이후 30년 넘는 양사 간 협력관계는 이번 수주로 이어졌으며, 지금까지 셰브론 측은 14개의 프로젝트, 총 16조 원 규모를 대우조선해양에 발주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현재 회사가 건조하고 있는 셰브론의 TCO프로젝트가 마무리되는 시점에 또 다시 셰브론의 프로젝트를 연속으로 건조할 수 있게 됐다”며 “대우조선해양에 무한한 신뢰를 보여준 선주 측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 설비는 완공 후 멕시코만에 설치될 예정이며, 하루 약 75,000배럴의 원유를 생산하게 된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현재까지 LNG운반선 10척, 초대형원유운반선 10척, 초대형컨테이너선 5척, 잠수함 5척(창정비 1척 포함), 해양플랜트 1기 등 총 31척‧기 약 59.5억 달러 상당의 선박 및 해양플랜트를 수주해 올해 목표 83.7억 달러의 약 71%를 달성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