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코로나19 사태 장기화 가능성에 국내 여행업계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로 인한 국내 피해 규모가 날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사태 확산은 특히 대중 심리가 크게 작용하는 여행업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하루가 멀다 하고 한국인 입국에 빗장을 거는 국가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상품 판매를 위한 고객 상담 자체가 무의미해졌다는 업계 토로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판매실적이 곤두박질친 여행사들의 줄도산 공포가 현실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 고용유지지원금 신청, ‘여행업’ 절반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장기화로 중소 여행사들의 폐업이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상황은 하나투어나 모두투어 등 업계 선두업체들도 비껴가지 못하고 있는 양상이다.
한국여행업협회 집계 결과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되기 시작한 지난달 국내 여행사 총 48곳이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적 악화에 어려움이 가중된 영세업체들은 직원들에게 무급휴직을 권하거나 정부의 고용유지 지원금 신청을 통해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지난달 고용유지 지원금 신청기업은 총 833곳으로, 이 중 여행업체는 411곳, 절반에 달했다. 411곳의 대다수인 92%는 10인 이하 중소여행사였다. 고용유지 지원금 제도란 정부가 업체가 부담하는 인건비의 절반 가운데 3분의 2를 지원하는 것이다.
대형 여행사들도 자구책 마련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하고 있다.
하나투어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이달부터 두 달 간 주 3일 근무제를 시행한다. 이 기간 직원 급여는 80% 수준 지급된다. 모두투어의 경우 같은 기간 전 직원의 유급휴직 제도에 들어가며, 해당 기간 70% 수준의 급여가 지급된다.
결국 이 같은 여행업 전반적인 어려움은 한국 여행객이 선호하는 국가들이 코로나19 영향에 따라 서둘러 자국 입국의 ‘빗장’을 높이고 있다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인 입국제한 국가는 지난달 28일 52개국에서 이달 2일 총 80개국으로 단 사흘 만에 30여 곳이 늘어났다. 80개국 가운데, 아예 입국을 금지한 곳은 36곳, 검역 강화나 격리 등 입국절차를 강화한 지역은 44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지난해 일본 불매운동으로 번진 동남아 여행 확산 기조가 이들 국가의 입국제한으로 큰 타격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하나투어는 작년 국내 여행객들의 일본여행 자제로 그해 실적이 당초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돈 데 이어 올해 코로나 발생 이후 동남아 여행길이 막히면서 지난달 해외여행 수요도 부진했다. 전년 동월 대비 84.8%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주요 여행사들의 2월 마지막 주 상품 신규예약률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90% 수준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 홍콩‧마카오 등 국가는 한국인 입국을 원천적으로 막고 있으며, 싱가포르‧필리핀‧베트남 등에선 대구‧경북 지역으로 제한해 거부하는 등 입국 절차를 까다롭게 진행하고 있다. 앞서 베트남 당국이 한국인 여행객을 강제격리하고 결국 귀국시키면서 논란을 빚기도 했다.
국내 여행객이 전통적으로 선호해온 미국을 비롯해 주요 유럽국가 역시 한국인 입국에 대한 허들을 높여나갈 모양새다.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산 속도가 빠른 한국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모양새다.
여행사 한 관계자는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국내 여행수요가 집중된 국가들에서 줄줄이 한국인 입국 장벽을 높이고 있다”며 “여행상품을 팔기 위한 고객상담 자체가 무의미해진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런 국외 상황과 외출 자체를 꺼리는 국내 사정이 맞물리며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여행업계 고심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한편, 정부는 이 같은 여행업계 위기를 반영해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르면 이달 중순 결론이 날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지정이 성사되면 이들 업종에는 ‘고용유지 지원금’ 한도가 상향되고, 협력업체 보험료 및 세금납부 유예 등이 이뤄지게 된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