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획재정부에서 물가 관련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최경서 기자] 최근 저(低)물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디플레이션(deflation)’이 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확실하게 선을 그었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대비 0.4% 하락했다. 이로써 지난 8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게 됐다. 공식 수치로 보면 이는 지난 1965년 ‘통계 지수 편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이에 대해 물가 정책을 담당하는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는 “지난해 9~11월 물가 상승률이 높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 결과”라며 “만약 농산물·석유류 가격이 과거 4년 평균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했다면, 이번 달 물가 상승률은 1% 수준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해는 전례 없는 폭염과 폭우 등으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했다. 전년 대비 상승률로 접근해보면, 8월에는 9.3% 상승했고, 9월은 무려 14.9%로 급등세가 더욱 커졌다.
반면, 올해는 작황호조로 농산물 가격이 안정을 되찾으면서 8월 -11.4%, 9월 -13.8%로 이른바 올라간 만큼 내려갔다. 동시에 농산물이 물가 상승률 하락에 기여한 효과도 8월 -0.6%포인트(p), 9월 -0.76%p로 확대됐다.
국제유가도 한 몫 했다. 지난해 8~9월의 국제유가는 각각 배럴(bbl)당 73달러와 77달러까지 올랐지만, 올해에는 60달러 수준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석유류 가격이 물가 상승률 하락에 기여한 효과는 8월 -0.17%p에서 9월 -0.26%p로 증가했다.
기저효과와 국제유가를 합한 공급 요인이 물가 하락에 미친 영향으로 보면 8월 -0.77%p, 9월 -1.01%p 수준이다.
또한, 복지 정책이 물가 하락에 기여한 정도는 -0.26%p로 산출되면서 건강보험 적용 확대나 고등학교 3학년 학생 대상 무상교육 등 각종 복지 정책도 물가를 낮추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재부는 이러한 현상들이 디플레이션으로 연결되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소매 판매 지수가 8월 3.9%로 크게 상승했고 9월 소비자심리지수 역시 전월 대비 4.4p 증가했다는 게 기재부가 제시한 근거다.
다만, 공급 측 충격에 의한 물가 하락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했다. 그렇기 때문에 1930년대 미국이 겪은 대공황이나 1990년대 일본에서의 디플레이션 등과 연결 짓는 것도 무리가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기재부는 "최근 세계화와 기술 발전·유통 혁신(아마존 효과) 등에 따른 구조적인 현상에 의해 세계적으로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재부는 “경제 활력이 전반적으로 둔화되고 있는만큼 물가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겠다”라며 “재정 지출 확대 등 확장적 거시 정책을 지속하고 수출·투자 및 소비 활성화 대책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등 경제의 활력 제고에 정책 역량을 쏟아 부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최근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된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관련, 강력한 방역 조치와 함께 돼지고기 등 축산물의 재고·가격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는 등 리스크를 최소화해 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