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효성은 지난해 영업익 1조 원을 돌파했다. 이는 지난 2016년 이후 3년 만의 일이다.(사진=효성 홈페이지 갈무리)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효성이 주력 계열 5개사의 약진에 힘입어 지난해 영업이익 1조 원을 돌파했다. 이는 지난 2016년 이후 3년 만으로, 취임 3년차를 맞은 조현준 회장의 ‘글로벌 경영체제 확립’에 따른 수확으로 평가했다.
◆ 글로벌 사업 안정-미래사업 확대 등 두각
6일 효성에 따르면 ㈜효성을 비롯해 효성티앤씨㈜, 효성중공업㈜, 효성첨단소재㈜, 효성화학㈜ 등 주력 5개사의 작년 총 매출은 18조119억 원, 영업이익은 1조102억 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효성 측은 이번 성과에 대해 “동종업계가 실적부진을 겪고 있는 가운데 올렸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효성은 ▲공급초과 상황인 중국시장 등에서의 프리미엄 섬유제품 판매 증가 ▲베트남·중국·인도 등 주요 해외법인 실적 호조 ▲효성티앤에스 등 자회사 해외수출 증가 ▲탄소섬유·아라미드 등 미래 신사업 수익 개선 등에서 실적 호조를 이끌었다.
특히 글로벌 사업 분야에서 뚜렷한 실적 개선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평소 조 회장이 강조한 ‘VOC(Voice Of Customer) 경영’에 따른 성과가 가시화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효성의 주력 5개사는 지난해 글로벌 시장서 두각을 드러냈다.
먼저 ㈜효성은 자회사 실적 호조로 매출액 3조3,813억 원, 영업이익 2,447억 원으로 전년(매출액 3조25억 원, 영업이익 1,550억 원) 대비 각각 12.6%, 57.9% 증가했다.
특히 금융IT 부문 효성티앤에스는 미국·러시아 등 해외 판매가 늘면서 지난해 사상 최고 실적인 매출액 9,433억 원, 영업이익 972억 원을 기록했다.
‘스판덱스’ 글로벌 1위 효성티앤씨도 동기 매출 5조9,831억 원, 영업익 3,229억 원의 실적을 냈다. 이는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지난해 9월 본격 가동에 들어간 인도 공장을 비롯한 중국·베트남 등 해외 생산법인을 중심으로 스판덱스 판매량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또, 중국 취저우 NF3 공장 가동이 정상화되며 흑자를 내는 등 주로 해외법인의 활약이 컸다.
효성첨단소재 역시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자동차 시장 위축에도 타이어코드 판매가 유지됐다. 미래사업인 아라미드와 탄소섬유 등 판매도 본격화됐다는 분석이다. 매출은 3조536억 원, 영업이익 1,583억 원의 잠정실적을 기록했다.
효성화학은 매출 1조8,125억 원, 영업이익 1,539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는 PP(폴리프로필렌) 부문에서 브랜드가치 제고로 수익성이 확대되고, 신사업인 폴리케톤의 판매가 전년(2018년) 대비 50% 이상 늘어나는 등 실적이 개선된 데 따른 것이다.
다만, 효성중공업은 전력 부문에서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반덤핑 관세 부과 등으로 부진했다. 그러나 건설 부문에서 주거, 정비사업, 토목 등에서 우량 사업을 안정적으로 수주, 매출 3조7,814억 원, 영업익 1,303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