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사 신축 필요성 확인・구조보강・안전관리시스템 구축
 |
| ▲강원도기 로고 (사진=강원도) |
[세계로컬타임즈 김재민 기자] 강원도는 지난해 10월부터 추진한 ‘강원도청사 신축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도에 따르면 본 용역은 그동안 청사 노후화에 따른 안전성 문제가 제기됐고, 사무공간 협소 및 주차장 부족, 시설물이 산재해 민원인 불편 등이 발생함에 따라, 현 청사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시행하고, 리모델링 및 청사 적정 규모(면적·사업비)를 검토해, 도청사 신축 필요성 등을 확인하기 위해 용역을 추진했다.
현 청사의 정밀안전진단 결과, 교육고시동은 건축물 안전에는 지장이 없으며 주요부재의 간단한 보수·보강 필요한 D등급, 본관과 별관은 긴급한 보수·보강과 사용제한 여부 결정 필요한 C등급으로, 청사구조 안전성이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1534명의 20대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청사 신축에 대한 도민 인식조사 결과, 신축 찬성이 7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용역과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도에서는 장기적으로 청사의 리모델링보다는 신축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해, 신청사 규모는 본청 근무 인원 및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시행령’에서 규정한 지방자치단체 청사 면적 기준을 반영하여 총면적 11만114㎡(지하주차장 5만323㎡ 포함) 규모가 적정한 것으로 제시됐다.
소요 사업비는 공사비 및 용역비(설계비, 감리비 등), 부대비 포함 3089억 원이 산정됐다.
한편, 정밀안전진단 결과 청사 구조 안전성이 취약함에 따라 신청사 건립 시까지 안전관리대책 방안으로, D등급 진단을 받은 신관, 고시 동에 대해서는 구조보강을 시행해 C등급으로 상향 조치한다.
내진 취약 본관, 별관, 신관, 고시 동에 대해서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균열, 기울기 등 변형 유무를 실시간 지켜보며, 수시로 1년에 3회의 정기점검, 3년에 1회의 정밀점검, 5년에 1회의 정밀진단 등 안전관리 방안이 제시됐다.
박천수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용역은 강원도청사 신축 필요성 확인과 신청사 규모·소요 사업비를 산정한 것으로, 용역 결과에 따라 향후 청사 건립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검토해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