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의원은 “지방기능경기대회·전국기능경기대회는 수상 시 기능사·산업기사 시험 면제, 가산점, 특별채용 등 실질적 혜택이 주어지는 만큼 직업계고 학생들에게는 ‘진로·취업의 지름길’ 역할을 해 왔다”며 “학생들은 전공심화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기술을 연마하고 미래를 준비해왔지만, 올해부터 예산지원 방식이 기본운영비 내 편성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운영비 편성 방식은 자율성 확대라는 장점도 있지만, 학교 재량에 따라 지원 규모가 달라질 수 있고 경쟁 순위에서 밀릴 경우 기능대회 관련 예산이 축소될 위험이 크다”며 “전문 장비(드론·로봇·모빌리티 등) 가격이 크게 오른 상황에서 학교 운영비만으로는 감당이 어려운 구조”라고 우려를 전했다.
또한 “전문 강사 확보가 필수인 종목도 많은데, 예산 축소와 운영방식 변화는 결국 기능교육의 질을 떨어뜨려 전남의 산업인재 양성 기반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직업계고 기능대회는 단순한 대회가 아니라 전남 미래 산업을 받칠 기술 인력을 빠르게 확보하는 가장 효율적인 경로”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끝으로 “전문 기술 인력 양성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직업계고가 제대로 성장해야 지역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만큼, 도교육청은 기능대회 지원이 끊기지 않도록 지원체계를 재검토해 달라”고 촉구했다.
세계로컬타임즈 / 김병민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