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올해 첫 실시…중앙부처·지자체 등 267개 기관 점검 평가
 |
▲ 지난 5월 동작구에서 실시한 안전교육 중 하나인 '가족과 함께 하는 재난 구호소 체험 캠프' 모습. (사진=이효진 기자)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안전에 대한 인식의 상승과 안전 교육의 필요성이 중요해 짐에 따라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곳이 많아 지고 있는 추세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국민 안전교육 이행실적을 점검하고 20일 결과를 발표했다.
안전교육 이행 실적 점검은 2018년 안전교육을 실시한 중앙부처 및 지자체 등 267개 기관을 대상으로, 지난 4월~8월 서면·현장 점검으로 합산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점검은 2017년 5월 시행된 ‘국민 안전교육 진흥 기본법’에 따른 것이며, 안전교육 추진기관을 대상으로 지난해 안전교육 추진상황을 점검하는 제도로 올해 처음 실시했다.
행안부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점검을 위해 27명의 민간 전문가와 9명의 공무원 등 36명으로 구성된 중앙안전교육점검단이 중앙부처와 시·도를 직접 점검했다.
평가 방식은 자체평가·추진실적 및 현장인터뷰로 이뤄졌다.
각 점검단위별로 우수기관을 살펴보면 중앙부처는 교육부·보건복지부·고용노동부·해양수산부·식품의약품안전처·해양경찰청 등 6개 기관이 선정됐다.
시·도는 서울특별시·광주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충청북도 등 5개 기관, 시·군·구는 서울 구로구·경기 고양시·경북 김천시 등 68개 기관이 선정됐다.
안전교육 추진 우수사례를 살펴보면 교육부는 유치원에서 고교까지 연간 평균 60.9시간에 해당하는 학년별 안전교육을 실시했으며, 체험 위주의 안전교육 현장 착근을 위해 안전체험시설을 확충했다.
보건복지부는 자살예방 생명지킴이 양성을 통한 자살예방교육을 강화했고, 해양수산부는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해양안전교실’을 운영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식생활 체험교실 ‘튼튼먹거리 탐험대’를 해양경찰청은 지자체, 교육청과 협업해 ‘생존수영 교실’ 운영을 확대했다.
17개 시・도 가운데 서울특별시는 찾아가는 이동안전체험교실, 청소년 해양안전체험교육 등 체험 중심의 안전교육을 강화했다.
광주광역시는 시민 안전교육 조례를 제정해 안전교육 추진기반을 마련했고, 세종특별자치시는 가족과 함께하는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교육을 실시했다.
경기도는 다문화가정을 위한 화재 시 행동요령, 심폐소생술 등 소방안전 매뉴얼을 10개 국어로 제작해 활용했으며, 충청북도는 다중이용시설 및 사회복지시설 등 순회 안전교육을 실시했다.
행안부는 안전교육 추진 우수사례를 각 기관에 공유하는 한편, 안전교육 추진사항이 미흡한 분야에 대해서는 개선점을 마련해 내년 안전교육 시행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 관계자는 “안전교육은 유사시 무의식적으로 행동이 즉시 나타나도록 몸으로 기억하는 체험 위주의 교육이 돼야한다”면서 “안전교육 추진 주체인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체험 교육 등 안전교육이 체계화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