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네이버는 MWC 기간 인텔-KT와 만나 5G 로봇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사진=네이버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네이버는 현재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진행 중인 세계 최대 모바일 박람회 ‘MWC 2019’를 무대로 삼아 ‘5G 시장’ 공략에 나섰다.
네이버는 네이버랩스‧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이 MWC 기간 중 통신사 KT, 글로벌 반도체 기업 인텔과 만나 5G 기반 서비스 로봇을 개발하는 데 합의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에서 네이버랩스는 인텔이 제공하는 5G, 컴퓨팅 및 센서와 같은 솔루션을 사용해 서비스 로봇을 설계 및 개발한다. 클라우드, IDC서비스, 보안 등 IT 인프라 전반을 지원하는 네이버의 플랫폼 자회사 NBP도 여기에 참여한다.
특히 NPB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 네이버랩스의 ‘자율주행 브레인리스 서비스 로봇(Brainless Service Robot)’의 두뇌 역할을 할 예정이다.
KT의 경우 로봇과 엣지 클라우드(Edge Cloud) 인프라를 5G 통신망으로 연결, 서비스 로봇이 실시간, 초저지연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네이버는 참여 기업들과 함께 연내 도입 시나리오 구체화 및 솔루션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네이버랩스 석상옥 대표는 “각 분야를 대표하는 굵직한 기업들이 함께하는 만큼 글로벌 5G 기반 서비스 로봇 시장에 한 획을 긋는 결과물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술을 통해 사람들의 삶을 보다 유익하게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NBP 박원기 대표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5G 서비스 로봇 플랫폼의 역량을 극대화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인텔코리아 권명숙 사장은 “5G 상용화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이며, 스마트 팩토리와 서비스로봇이 그 적용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협력이 국내 5G 사용의 좋은 선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T 5G플랫폼개발단장 이용규 상무는 “KT의 5G 상용망, 엣지 클라우드 인프라와 네이버, 인텔이라는 글로벌 업체들의 앞선 기술을 융합해 글로벌 산업을 리딩하길 기대한다”며 “향후 국내 5G 관련 산업의 새로운 혁신이 지속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