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스마트팩토리 시장 선점을 위해 현대로보틱스와 포스코ICT가 손을 맞잡았다.(사진=현대중공업그룹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폭발적으로 성장 중인 ‘스마트팩토리’ 관련 시장 진출에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이 부문 국내 선도 기업인 현대로보틱스가 포스코ICT와 손잡고 시장 선점에 나선다.
현대중공업지주 로봇사업부문은 최근 포스코ICT 판교사옥에서 포스코ICT와 산업용 로봇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팩토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현대중공업지주 로봇사업부문 서유성 사업대표와 포스코ICT 손건재 사장 등이 참석했다. 현대로보틱스는 현대중공업지주 로봇사업부문의 대표브랜드로,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 1위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양사는 향후 스마트팩토리 수주 전에서 컨소시엄을 구성, 공동의 마케팅과 영업으로 시너지를 만들어내겠다는 각오다.
현대로보틱스는 스마트팩토리 공정진단, 로봇기반 자동화 설비 구축을, 포스코ICT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인 ‘포스프레임(PosFrame)’과 애플리케이션 구축 및 로봇 서비스 제공을 각각 맡게 된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제조기업의 공정을 분석, 로봇 및 스마트화 적용 환경을 사전에 구현해 3D기반의 시뮬레이션 형태로 제공하는 컨설팅 및 진단 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의 운영 및 정비 플랫폼을 제공해 설비 운영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보를 분석, 고장 등 이슈사항을 사전에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전 공장의 지능화된 통합 관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현대로보틱스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가 갖고 있는 장점이 잘 모여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며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 ‘스마트팩토리’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로 발돋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 스마트팩토리 시장 규모는 날로 커져가고 있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마켓츠앤드마켓츠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팩토리 시장 규모는 2016년 1,210억 달러에서 2022년 2,062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오는 2025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를 보급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