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컬신문 오영균 기자] 임철순 대중교통추진단장이 대전도시철도 2호선(트램) 기본계획 변경에 따른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검증방식이 타당성 재조사로 결정됐다고 4일 밝혔다.
2호선(트램)이 고가 자기부상열차에서 노면전차로 건설방식을 변경함에 따라 신규 예비타당성조사를 받아야 하지만 이번 기재부의 결정은 지역여론 등을 고려해 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 |
| ▲ 대전시 임철순 대중교통추진단장이 4일 기자브리핑을 하고 있다. |
임철순 추진단장은 4일 대전시청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대전도시철도 2호선(트램) 기본계획 변경에 따른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재조사로 결정됐다”며 “KDI에서 수행할 타당성 재조사가 최소 6개월 정도 소요되지만 검증절차가 조기에 마무리되도록 지역 정치권과 공조 등으로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당초 시범노선 국토교통부 협의 과정에서 안정적인 건설과 운영을 위해 A라인(동부4~중리4~동부여성가족원/2.7km)을 2호선 기본계획에 포함하는 것으로 협의됐다”며 “이에 따라 시비를 약 260억 원 절감하는 효과를 얻었다”고 덧붙였다.
![]() |
| ▲ 대전도시철도 2호선 노선도. |
이번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건설은 금년도 예산 50억원이 확보돼 민선 6기 마무리를 앞두고 정상추진에 대한 적극 대응 의지로 해석된다.
한편 타당성 재조사는 사업추진 과정에서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사업에 대해 그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재조사해 불필요한 사업비 증액 억제 등 사업계획을 종합 검토해 사업의 타당성 및 대안을 제시하는 검증방식이다.
앞으로 도시철도 2호선 추진은 2018년에 기본계획(변경)안에 대해 기획재정부와 총사업비 조정협의가 마무리 되는대로 설계를 추진해 2020년에 공사를 착수, 2025년에는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