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 여의도 국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실에서 최근 열린 '택시와 플랫폼의 상생발전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기구 출범식'에 앞서 정주환(왼쪽부터) 카카오 모빌리티 대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박권수 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헙회 회장,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박복규 전국택시운송연합회 회장, 전현희 택시-카풀 TF위원장, 강신표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위원장, 구수영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 위원장이 자리에 앉고 있다. (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선 기자] 사납금제 폐지와 완전월급제를 내건 KST모빌리티는 오는 11일부터 마카롱 택시 시범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으로 카카오 모빌리티와 '카풀 갈등'을 빚어온 업계 지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KST모빌티리에 따르면 마카롱 택시는 오는 11일 스마트폰용 앱과 더불어 시범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우선 택시 10대로 출발하지만, 보유 차량을 단계적으로 늘려 올해 연말까지는 1000대 가량을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마카롱 택시가 관심사로 부상한 이유는 시범 서비스가 업계 쇄신의 리트머스 시험지로 받아 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택시 업계가 불가피한 관행으로 수용해온 ‘사납금제’를 택시산업 경쟁력을 갉아먹는 열악한 서비스의 온상으로 규정하고 월급제, 택시 쇼퍼제 도입 등 변화를 꾀하자 정부와 업계가 성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는 뜻이다.
사납금제는 기사들이 사측에 내고 남은 하루 수입을 챙기는 이윤분배방식이다. 기사들이 사납금을 채우기 위해 손님을 가려 태우고, 장거리 중심으로 운행하는 등 무리수를 둬 원성을 사왔다.
하지만, 이 제도가 영세 사업자가 생존하기 위한 필요악이라는 진단도 만만치 않았다. 마카롱 택시의 완전월급제 실험이 ‘탁상공론’에 불과하며 순항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회의론이 대두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관건은 월급제 시행으로 높아진 고정비용을 상쇄할 다양한 부가 서비스 개발과 서비스 품질의 지속적인 향상이다. 마카롱 택시는 ‘데이터 경영’으로 이러한 우려를 불식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꾀하겠다는 계획이다.
부가서비스를 개발해 현금흐름을 개선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해 서비스 품질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통안전공단측에 데이터 분석을 의뢰하는 업무협약도 맺었다.
기사 교육도 대폭 강화한다. 명칭부터 바꿨다. 기사들을 고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쇼퍼’로 부른다. ‘쇼퍼 아카데미’를 이수하고 자격시험을 통과한 기사들만 채용한다. 블랙캡 등 영국 택시업계의 사례를 벤치마킹해했다.
KST모빌티리 관계자는 “택시를 타면 손님들을 상대로 불필요한 말을 많이 하거나, 거칠게 운전하는 기사들이 적지 않다 ”며 “시민들이 느끼는 이러한 불편 사항이 개선되지 않으면 경쟁력이 없겠다고 봤다”고 쇼퍼제 도입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 회사의 완전월급제 실험은 업계 전반에 적지 않은 파장을 몰고 올 전망이다. 이 신생업체의 실험이 순행하면 택시업계도 정부의 사납금 폐지 압박에 마냥 뒷짐을 지고 있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