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막 일주일 앞두고 백화점 보이콧 → 철회 등 잡음 계속
 |
▲2019 코리아세일페스타가 내달 1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된다. (사진=코리아세일페스타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임현지 기자] 한국의 블랙프라이데이를 표방한 ‘코리아세일페스타’가 개막 일주일을 앞두고 있지만 흥행에는 여전히 물음표가 따르고 있다.
할인 행사 비용의 50%를 백화점이 부담하는 ‘대규모유통업 분야 특약매입거래에 관한 부당성 심사지침’이 코리아세일페스타 시기와 겹치면서, 백화점이 보이콧 움직임을 보였다가 철회하는 등 행사 시작 전부터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올해 코리아세일페스타는 내달 1일부터 22일까지 역대 최대 규모로 최장 기간 진행된다. 참여 업체도 지난해보다 150개가량 늘어나 600여 개다. 온라인쇼핑 업계 역시 3배 정도 늘어나 최대 60% 할인 이벤트를 열 예정이다.
코리아세일페스타는 그동안 정부 주도로 진행해오다 올해부터 민간 주도로 바뀐다. 기업이 자체적으로 파격 할인 행사를 진행할 수 있었던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나 중국 광군제와 달리, 정부가 예산을 가지고 행사를 추진하면서 참여 기업들이 높은 할인율을 적용하기 어려웠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외 시장과 소비 트렌드, 소비 심리를 잘 아는 업계 중심 추진위원회가 꾸려져 행사의 방향과 내용을 정하고, 정부는 이를 지원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지난해에는 행사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아이돌 그룹 샤이니의 멤버 민호를 모델로 발탁하고 전야제에 엑소(EXO) 등 유명 가수를 초청하는 기획·홍보에 60% 이상의 예산을 쏟기도 했다. 이에 ‘보여주기 식 행사’라는 지적을 받았지만 올해 역시 유명 방송인 강호동을 메인 모델로 선정했다.
그러나 이 같은 홍보에도 코리아세일페스타의 성적은 초라하기만 하다.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행사 참여 업체 수는 451개로 시행 초기인 2015년보다 4.9배 증가했지만, 참여 업체 매출은 오히려 2,200억 원 감소했다.
최 의원은 “국내 유통구조는 대규모 할인 행사가 성공하기 어렵다”며 “산업부가 실효성 없는 행사에 관습적으로 예산을 투입할 것이 아니라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역시 행사 시작 전부터 정부와 업계의 마찰이 빚어지고 있다. 유통업자가 판촉 행사에 납품업자에게 부담을 떠넘기지 못하도록 하는 심사 지침 개정을 공정위가 추진하면서다.
백화점 할인에 따른 비용 부담은 현행 10%다.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납품업체와 부담을 반으로 나눠야 하는데 이는 세일 폭이 커질수록 백화점이 이익을 내기 힘들다. 이에 백화점은 코리아세일페스타 참여에 대해 보이콧 움직임을 보였다가 정부에서 “민간 주도의 첫 해인 만큼 협력하겠다”라는 입장을 밝히며 이를 철회했다.
신치민 한국백화점협회 상무는 “공정위 지침 행정예고가 백화점 영업 및 경영에 중차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라 백화점들이 코세페에 참여할 수 있을지 염려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민간 이양 첫해라는 점과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함께 노력하자는 취지에서 참여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공정위는 해당 지침은 현행 대규모유통법에 의해 이미 규정돼 있으며 강제한 사항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업계의 입장을 반영해 해당 개정안을 오는 31일에서 내년 1월 1일로 유예하기로 했다.
코리아세일페스타를 주도해온 산업부도 “백화점을 포함한 유통·제조 업계는 올해 상반기부터 코리아세일페스타에 참여하기 위한 준비를 추진해 왔다”며 “백화점 업계는 행사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공식 의사를 밝힌 사실이 없다”는 반응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