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의원은 “세교2지구 입주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M1 주상복합 987세대(하루 3,714대), 청학지구 2,580세대(하루 약 7,000대), 현대테라타워(하루 약 8,000대) 등으로 남촌오거리 일대 통과 차량만 하루 약 1만 8천 대 증가가 예상된다”며 “이미 정체가 심각한 도로가 앞으로는 마비 수준에 이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경부선 철도 횡단도로 및 오산천 연결도로가 착공식 이후 문화재 조사와 토지보상 문제로 공정이 지연되고 있는 점을 언급하며 “행정은 추진 중이라고 말하지만 시민은 체감하지 못한다. ‘선 교통, 후 입주’ 원칙이 무너졌다”고 비판했다.
특히 2022년 지방선거 직전 승인된 M1 사업을 예로 들며 “대규모 인허가가 의회·시민과의 협의 없이 진행됐다”며 절차적 정당성 문제를 제기했다.
더불어 국비 30억 원을 확보하고도 공공기여 방식으로 전환되며 지연 중인 세교2지구 국민체육센터 사업을 언급하며 “공공기여를 체육시설 중심으로만 받다 보니 정작 필요한 교통 인프라 개선이 누락됐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교통 혼잡 해소를 위해 ▲선 교통·후 입주 원칙 확립, ▲대규모 개발사업 사전 의회 보고 및 협의, ▲감시가 어려운 시기 승인 관행 개선, ▲생활권 단위 교통영향평가 도입 등 실질적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전 의원은 “오산의 발전은 건물 숫자가 아니라 시민의 일상이 멈추지 않는 도시에 있다”며 “행정은 개발 속도가 아니라 시민이 체감하는 삶의 편의를 기준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로컬타임즈 / 이 호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