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컬신문 유영재 기자] 인천광역시는 감염병을 수도권 차원에서 원천 차단하고자 서울특별시, 경기도와 함께 ‘수도권 감염병 공동협의회’를 구성하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다.
인천시는 서울시, 경기도와 ‘감염병 대응력 강화를 위한 수도권 시·도 공동대응 협약’을 체결, 수도권 감염병 공동협의회를 발족한다고 밝혔다.
수도권 감염병 공동협의회는 협약에 따라 앞으로 수도권의 신종·재출현 감염병 예방 및 조기 차단을 위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인천시, 서울시, 경기도 감염병 공동대응 협약식은 10일 오전 서울시청 본관 6층 영상회의실에서 열린다.
이 자리에서 박판순 인천시 보건복지국장,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 신낭현 경기도 보건복지국장은 ‘수도권 시·도 감염병 공동협약’을 체결하고 협약서에 서명한 뒤 서로 교환한다.
이 협약에 따라 인천시, 서울시, 경기도는 감염병 감시와 대응에 상호 협력하며 지역 재난 발생 시에는 공동 방역 등 인적·물적 자원도 협력 지원을 통해 신속하게 공동 대처할 예정이다.
수도권 시도 공동 협의회는 이날 공동 협약 체결 직후에 첫 실무회의를 개최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특히, 인천시는 2015년 메르스 발생 당시 의심환자 총 200명 중 84%(168명)을 수도권지역 병원에서 치료한 사례에 비춰, 앞으로 시·도 간 긴밀한 공동 협력을 통해 신속한 감염병 대응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시는 인천국제공항, 인천항만 등이 자리 잡아 지리적으로 해외유입 신종감염병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며, 최근 인천국제공항 이용률이 해외여행객의 78%를 차지하는 등 증가 추세다.
메르스 발생지역(12개국)인 중동지역 항로 모두 인천공항을 100% 이용한다.
서울시는 인구밀도가 높고 생활환경의 특성상 전국 병의원의 1/4이 분포, 시민뿐만 아니라 타 지역 중증감염병 환자가 치료를 많이 받는 만큼 감염병 관리의 특수성이 있다.
2016년에도 전국 메르스 의심환자 200명 중 98명(49%)이 서울지역 병원에서 격리치료를 받았다.
경기도는 대도시와 도농복합시, 농어촌지역이 광범위하게 속한 만큼 발생하는 감염병의 종류가 다양하고 산발적 발생이 잦아 지역특성별 관리와 더불어 권역별 예방대책이 필요한 지역이다.
인천시는 메르스 당시 선제적인 대응과 투명한 정보공개로 위기 극복을 선도했으며 이번 ‘수도권 시·도 공동 협의회’ 출범은 제2의 메르스 사태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수도권 차원에서 감염병 대응역량을 혁신한 것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조류인플루엔자(AI),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등 감염병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하려면 수도권이 공조해 감염병 관리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시민의 안전을 위해 지역을 넘어 수도권 감염병 공동 대응에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