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진시는 지난 5일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실무협의회 첫 회의를 가졌다.(사진=당진시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홍윤표 조사위원] 충남 당진시는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6일 당진시에 따르면 이건호 부시장을 위원장으로 한 실무협의회는 조직분야, 복지분야, 보건분야 관련 부서로 구성됐으며, 지난 5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오는 7월까지 운영된다. 이를 통해 읍‧면‧동 전담인력 배치를 비롯한 당진만의 차별화된 주민자치형 공공사업 시책을 발굴할 계획이다.
약칭 ‘주인공 사업’이라고도 불리는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 사업은 주민자치 강화와 마을공동체 활성화, 주민중심의 공간 개선,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확대하고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주민 서비스를 개선하는 등 주민의 관점에서 읍‧면‧동의 기능을 확충‧보완해 제공하는 공공서비스다.
일선 행정단위인 읍‧면‧동부터 주민생활자치와 찾아가는 복지, 공동체 돌봄을 위한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 제공 체계로 전환하겠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당진시는 정부의 지원으로 읍‧면‧동 중심의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요인력도 확보한 상태로, 하반기부터는 시민들을 위한 다양한 편의시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당진시 관계자는 “시민들의 참여로 지역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자는 것이 주민자치의 근본적인 목적이지만 주민자치가 활성화 되면 결국 그 혜택이 주민들에게 다시 돌아간다”며 “당진만의 차별화된 공공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