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료원은 2020년 2월, 코로나19 확산으로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지정돼 2년간 도민의 안전과 공공의료의 최일선에서 대응해 왔다.
그러나, 2022년 5월 전담병원 지정이 해제된 뒤 일반 진료 기능을 회복 중임에도 수익 구조 정상화는 예상보다 훨씬 더딘 상황이다. 국립중앙의료원이 ‘공공의료기관의 코로나 이전 진료 수익 회복에는 4년 이상이 걸린다’고 전망했지만, 경기도의료원의 현실은 이보다 더 열악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황세주 부위원장은 “경기도의료원의 만성적 경영난이 이제는 임금체불로까지 번지고 있다”며 지적했다. 실제로 의정부병원과 포천병원에서 이미 임금체불 사태가 발생했으며, 다른 지역 병원으로 확산할 가능성도 커 필수 의료서비스의 안정성이 심각하게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경기도의료원은 이번 추경안을 앞두고 약 113억 원의 운영비 지원을 도에 요청했지만, 최종안에는 포함되지 못했다. 도 보건건강국장조차 “반드시 세워졌어야 할 예산이었다”며 “지금이라도 꼭 편성되길 바란다”는 견해를 밝혔다.
황 부위원장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 8일 전국 기관장 회의에서 “임금체불은 노동자의 피땀을 빼앗는 행위로 경제적 살인”이라고 발언을 한 것을 언급하며, 이번 사안은 의료원 종사자들의 생존권과 권익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중대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장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산을 마련해 조속히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덧붙여 황 부위원장은 “코로나19 이후 정상화 과정에서 경기도의료원이 충분한 자구노력을 다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오는 11월 행정사무감사에서 예산ㆍ경영ㆍ노무관리 전반을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예고했다.
세계로컬타임즈 / 오정희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