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정안전부는 생명안전 네트워크 구현 등을 위해 ‘PS-LTE 보고회’를 개최한다. (사진=YTN 화면 갈무리) |
행안부는 재난안전통신망 본 사업의 사업자 선정을 완료하고, 소방·경찰 등 이용기관 관계자, KT·SK텔레콤 등 사업 참여기업, 공공안전망 포럼 위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1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착수보고회를 개최한다.
현재, 각 재난관련기관이 다양한 개별 무선통신망(TRS, VHF/UHF 등)을 사용, 재난 시 기관 상호간 통신이 되지 않아 재난대응 골든타임을 지키기 어렵고, 주파수 및 예산 등 자원 낭비의 요소도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각종 재난 현장에서 기관 간 상황전파와 지휘.협조를 지원하는 일원화된 무선통신망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은 구축 3년(1918~1920년), 운영 5년(1921~1925년)으로 8년 간 1조 5,000여억 원이 소요되는 대규모 사업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재난현장과 본부, 현장 대원 및 기관 상호간 현장상황, 피해내용, 작전정보, 지휘내용 공유 및 전파 등의 통신을 지원하게 된다.
이와 함께, 재난안전통신망 인프라를 기반으로 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의 주요기술과 접목해 재난안전 관리 고도화와 관련 신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전국 단일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상황의 공유로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재난 대응과 복구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재난안전통신망 목표 개념도. (자료=행안부 제공) |
먼저 A구역은 서울, 대구, 대전, 세종, 경북, 충남, 제주 등 7개 시도에 고정기지국 등 5,647개소의 설치와 함께 운영센터 구축(제1·2센터 및 제주분소)이 포함돼 있으며 사업비는 3,300여억 원이다.
B구역은 강원, 광주, 전북, 전남, 경기 등 5개 시‧도에 고정기지국 등 6,148개소가 설치되며, 사업비는 2,600여억 원이다.
그리고 C구역은 부산, 인천, 울산, 충북, 경남 등 5개 시‧도에 고정기지국 등 3,652개소가 설치되며, 사업비는 1,500여억 원이다.
착수보고회에서 A, B구역의 사업자인 KT 컨소시엄과 C구역 SK텔레콤 컨소시엄은 오랜 통신사업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가장 안전하고 최적화된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할 것과 선진사례 및 핵심요소 분석을 통해 재난망의 생존성과 확장성·경제성을 고려한 최상의 성능구현 및 목표 커버지리의 음영구역 제로화·응용서비스 활성화 등을 위한 사업수행 전략을 발표한다.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 관계자는 “공공안전을 위한 통신망을 내 손으로 만든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사업에 임해줄 것”을 당부하며, “재난안전통신망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국가 재난관리 역량을 한 차원 높이고, 4차 산업혁명의 주요기술과 접목해 다양한 재난안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생명안전 네트워크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