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포스코건설의 안전 불감증이 또 다시 도마에 올랐다. (사진=포스코건설 영상 갈무리)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포스코건설은 지난 3월 부산 엘시티 공사현장 근로자 사망 사고 이후 7개월 만에 또 다시 ‘안전 불감증’논란에 휩싸였다.
16일 쿠키뉴스에 따르면 정동영(민주평화당) 의원실은 포스코건설이 시공사로 참여해 올 2월 입주한 전주시 한 아파트에서 기준치의 10배에 달하는 라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라돈은 특히 폐암을 유발하는 치명적 물질로, 현행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된 상태다.
우리 사회는 앞서 적발된 ‘라돈 침대‧매트리스’검출 사태로 여전히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번 포스코건설 논란과 관련해 라돈이 시공 과정에서 사용된 콘크리트 등 석재에서 새어나왔을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문제는 이처럼 포스코건설의 안전 관련 대처가 미흡해왔다는 지적이 그동안 한두 번 이뤄진 게 아니라는 점이다.
포스코건설 관련 안전 사고는 지난 3월 부산 해운대 엘시티 건설현장 작업대 붕괴사고에 이어 같은 달 송도 센토피아, 부산 산성터널 현장 추락 사고가 연이어 발생했다.
이에 앞서 인천 한 건설현장에선 지난 1월 추락사고가 발생했으며, 최근에는 충남 서산 현장에서 근로자 1명 추락해 사망하는 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
특히 고용노동부 집계 결과 올 상반기 포스코건설 현장에서만 5건의 사고가 발생, 총 8명에 달하는 근로자가 목숨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