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컬신문 유영재 기자] 인천광역시가 20일 서민생활과 직결되는 물가의 안정관리를 위한 '2017년 물가 안정 관리 대책'을 발표했다.
인천시는 이번 대책에서 10종(상·하수도료, 시내버스료, 지하철료, 택시료, 도시가스료, 공연예술관람료, 쓰레기봉투료, 정화조청소료, 고등학교 수업료 등)의 지방공공요금관리와 주요 생필품 및 개인서비스요금 등에 대한 가격정보 기능을 대폭 강화한다.
또 착한가격업소, 소비자단체와 유기적인 협조체계 구축을 통한 개인서비스요금의 안정 관리도 나선다.
먼저 공공요금은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기조에 따라 서민 경제의 안정화를 위해 동결기조를 유지하고 인상폭 최소화 및 인상시기 조정 등으로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계획이다.
시가 관리하는 상·하수도, 시내버스, 지하철, 택시, 도시가스(소매), 공연예술 관람료 등의 공공요금은 경영혁신, 원가분석 등 자구 노력을 통해 인상 요인을 자체 흡수하도록 유도하고 물가대책심의위원회 심의 조정 기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공공요금 관리 책임의 명확화를 위해 국장급을 품목별 관리 책임관으로 지정·운영해 공공요금의 선제적 관리 및 실시간 보고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개인 서비스 요금에 대해서는 저렴한 가격으로 지역물가 안정에 기여하고 있는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홍보 및 관리를 강화한다.
가격 표시제 이행과 불공정 거래 행위를 단속하고 소비자단체와 합동으로의 캠페인 및 교육을 실시해 물가안정화 분위기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물가 불안 심리 조기 차단 및 물가 안정적 관리를 위해 가격표시제 위반, 표시요금 초과 징수, 사재기 등 불공정 행위를 단속하고자 상시로 물가대책 종합상황실을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정중석 시 일자리경제국장은 “물가안정과 합리적인 소비생활 위해 올해 3월말부터 새롭게 시민들에게 물가(82종)등 생활경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인천시 클라우드 GIS 포털 모바일 서비스를 개통한다”며 “지역언론 및 방송을 통해서도 물가정보를 제공하는 등 가격정보 제공기능을 강화해 시정 신뢰도를 제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