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선 정치보복 아닌지 우려
![]() |
▲ 지난 2012년 금강 공주보 일대에 노조가 발생한 모습.<사진제공=충남도청> |
[세계로컬신문 김수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녹조라떼’라는 오명을 쓰고 있는 4대강 보의 상시개방과 사업 정책 감사 진행을 지시한 가운데 지자체와 시민단체 등이 환영의 뜻을 비쳤다.
세종보와 공주보, 백제보 등이 위치한 충청남도가 이번 상시 개방에 대해 연관 지자체 중 가장 먼저 환영의 입장을 표명했다. 충남도는 23일 관련 보도자료를 내고 “훼손된 금강의 생태계 복원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충남도는 지난 1월부터 보 갑문을 상시 개방해 유속을 현재의 3배 이상 늘려 수질 및 생태계 문제를 해결하고 이용률이 낮은 하천 주변 레저시설은 가치 평가 후 재자연화하자고 제안해 왔다.
죽산보(영산강)가 있는 전라남도 의회는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영산강 살리기 사업 추진과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남도의회 김탁 의원은 23일 임시회 도정질문을 통해 “도 자체적으로 해수 유통과 보 철거, 수문개방 등을 분석해 종합적인 영산강 관리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주변 시·군이 참여하는 영산강 유역의 행정협의회와 수계관리위원회 역할을 분담하고 영산강 살리기 시·도민 위원회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부분 시민단체도 긍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녹색연합은 22일 “환경부 스스로 과거의 잘못된 정책결정과 정책시행을 반성해야 한다”며 “이명박 대통령을 포함해 4대강 사업을 초래한 주요 인사에 대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서울환경연합도 “문재인 대통령의 이 같은 조치에 환영한다”면서도 “한강 신곡수중보도 추가로 상시개방에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경남지역의 시민단체들도 환영의 뜻과 함께 책임자 규명을 요구하기도 했다.
시민들도 대부분 죽은 강을 되살릴 기회라고 주장했다.
네티즌 @sk*****는 “4대강 청문회 통해 잘못된 부분을 되돌려야 한다”며 “많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자연을 살릴 수 있게 된 것 같아 다행”이라고 말했다.
@tyo***는 “‘4대강에 배가 많이 다니면 프로펠러가 움직여 강이 정화된다’ 등 양심 버린 사람들을 찾아내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4대강 사업이 충분히 감사를 한 만큼 문제없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트위터리안 @t9kd***는 “4대강 사업은 몇 번이나 감사를 했지만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며 “적폐청산을 핑계로 정치보복을 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네티즌 @ki****는 “4대강 사업으로 홍수를 막기도 했는데 무작정 나쁘다고만 할 순 없다”며 “파급이 큰 만큼 지역주민 의견을 적극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오는 6월 1일부터 고령보, 달성보, 창녕보, 함안보(이상 낙동강), 공주보(금강), 죽산보(영산강) 등 6개 보가 상시 개방되며 나머지 10개 보에 대해서는 검토 후 개방 수준과 방법을 단계적으로 확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