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산림연접지에 소각행위로 화재가 발생해 소방관이 진화하고 있다. (사진=경북도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최영주 기자] 4월 30일부터 연휴기간 동안 상춘객이나 산나물 채취 등 산행인구 급증으로 산불발생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면서 산불방지에 비상이 걸렸다.
더구나 경북도 전역에 건조경보(주의보) 발효와 강한 바람이 예상돼 더욱 긴장되고 있다. 이에 경북도는 연휴동안 ‘봄철연휴 산불방지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한다.
경북도는 현재 산불재난 국가위기 경보를 ‘경계단계’로 유지하고 산불방지대책본부 비상근무 운영을 강화한다.
아울러 경북도청 소속 사무관으로 구성된 ‘산불계도 지역책임관 213명’을 235개 읍·면에 파견해 산림연접지 소각행위 단속 등 산불방지 활동을 철저히 실시한다.
시·군간 산불진화헬기 공조체계를 유지하고 대형산불 위험예보 발령지역에 대해서는 산불신고 접수와 동시에 헬기와 진화인력을 출동시켜 초동진화 할 방침이다.
어린이날을 맞아 열리는 지역행사장이나 유원지 등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서 산불홍보 활동을 실시할 예정이다. 주요 등산로 · 산나물 채취지 등 산림에서 흡연 금지 · 입산통제구역 산행금지 · 화기소지금지 등 안내와 함께 위반행위자에 대해서는 최대 3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이번 연휴기간이 봄철산불 방지활동의 마지막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작은 부주의에 의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산불예방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