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화적 가치 지속 위해
 |
▲ 경북 울릉 도동 향나무 (사진=산림청)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산림청은 올해부터 보호수의 소실(消失) 및 안전사고 예방 등을 위해 보호수 생육진단 및 실태조사 사업을 실시한다.
‘산림보호법’ 제13조에 따라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있는 노목(老木), 거목(巨木), 희귀목(稀貴木)으로서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나무를 보호수로 지정하고 있다.
2021년 말 기준으로 전국의 보호수는 13,856그루가 지정돼 있으며, 수종으로는 느티나무가 가장 많고(7,278그루, 52.5%), 보호수 중에서도 가장 나이가 많은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는 울릉도 해안절벽에 자리한 향나무(1998년 지정 당시 2,000살 이상 추정)이다.
보호수는 나이가 많아 자연적으로 고사하기도 하고, 병해충과 태풍 등 자연재해로 인해 갑작스럽게 소실되기도 한다.
이에, 산림청은 올해부터 1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도심·생활권 내 보호수에 대한 안전진단을 실시한다.
나무 의사의 진단으로 보호수의 생육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보호수에 얽힌 옛이야기 등 인문·사회적 가치를 조사해 국민이 산림문화자산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