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 과정서 안 다루면 수능서도 배제해야”
 |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학교교육 경쟁력 제고 및 사교육 경감 관련 당정협의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9일 향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출제 방향에 대해 “공정한 수능이 될 수 있도록 공교육 과정 내에서 다뤄지지 않은 내용은 출제를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 “신속히 대책 추진 못한 점 사과”
이 부총리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학교교육 경쟁력 제고 및 사교육 경감 관련 당정협의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 부총리는 “공교육 정상화와 사교육 경감의 출발점이자, 중요한 원칙은 윤석열 대통령이 강조하는 공정한 수능평가”라며 “적정 난이도가 확보되도록 출제 기법을 고도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점검하는 등 교육부 수장으로 모든 가능한 지원을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은 문제를 추진해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내몰았다는 지적이 오랫동안 있어왔다”면서 “그럼에도 교육부가 이를 해결하지 못하고 방치한 데 대해 반성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정부가 방치한 사교육 문제, 특히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힘든 와중에 학원만 배불리는 작금의 상황에 대해 대통령은 이 문제를 여러 차례 지적했다”며 “신속히 대책을 내놓지 못한 데 대해 교육부 수장으로서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특히 이 부총리는 최근 윤 대통령의 수능 관련 언급을 두고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에서 쏟아내고 있는 비판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교육부 업무보고 이후 공교육 교과과정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에 대해선 수능 출제를 자제해야 한다는 취지의 언급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둘러싸고 야권 등에선 대통령이 수능 출제 난이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에 대해 이 부총리는 “공정한 수능이란 결코 물수능(쉬운 수능)을 의미하지 않는다”며 “우리 아이들이 학원에 가지 않도록 공정한 수능이 돼야 한다는 것으로, 이런 수능이 가능하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공교육에서 다루지 않는 소위 ‘킬러 문항’은 (상위권) 변별력을 높이는 쉬운 방법이었다”며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내모는 근본 원인”이라고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일부 수능 입시 대형학원 등의 과장 광고 등 학원의 불법 행위에 대해서도 엄중히 대응해나갈 것”이라며 “학교교육을 정상화하고 사교육 수요를 원인별로 맞춤형 대응을 하는 대책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