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영 의원 “작년 2천200여 명 퇴사·휴직 신청”
 |
▲ 지난해 보건소 공무원 약 2,200명이 의료현장을 이탈한 것으로 드러났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이들의 업무 과부하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난 가운데, 지난달 16일 서울대병원 노조가 인력확충 등을 요구하며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이호 기자] 단계적 일상회복, ‘한국형 위드코로나’로의 방역체계 전환이 내달로 바짝 다가선 가운데, 여전한 코로나19 확산세에 의료현장의 인력이탈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과부하에 걸린 보건인력에 대한 전반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 ‘인력 확충’ 등 대책 마련 시급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4년간 보건소 공무원 퇴사율 현황에 따르면 충북·전남 등 5개 지역을 제외하고 지난해 이들 인력 퇴사율은 전년 대비 증가했다.
작년 전국적으로 보건소 공무원 약 470명이 퇴사했으며, 휴직 신청 인원도 1,730여 명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세종시(2.3%)가 지난해 퇴직자 비율이 가장 빠르게 늘어난 곳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년 대비(1.2%) 2배 수준에 달한다. 이어 ▲부산(2.5%→4.5%) ▲강원(0.8%→1.4%) 등 순이었다. 특히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대구·경기 지역 보건의료 인력 퇴사율도 전년 대비 약 1.5배 수준인 3.9%, 2.6%로 집계됐다.
휴직률 증가세도 심각하다.
제주를 제외한 전국 전 지역에서 코로나 사태 이후 휴직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종시는 지난해 휴직률이 전년도에 비해 무려 2.5배 수준 폭증했다. 연도별 병가사용 일수도 전반적으로 늘어나면서 제주는 약 2배(평균 1.0일→1.9일)로, 대구(2.6일→4.1일)와 광주(1.8일→2.9일)는 1.5배 수준 각각 급증했다.
신 의원은 “코로나19 대응의 중심인 보건소의 방역 시스템이 인력 한계로 무너지고 있어 안타깝다”며 “최근 월 110시간이 넘는 초과 근무를 했던 인천 보건소 공무원이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을 결코 잊어선 안 된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9월 인천에서 확진자 동선 파악 업무를 주로 담당하던 부평구보건소 의료기술직 공무원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에 앞선 5월 부산에서도 격무에 시달리던 동구보건소 간호직 공무원이 극단적 선택으로 숨지는 등 일선 의료현장에서의 업무 과부하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