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9일 "올해 15만개 수준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삼겠다"고 말했다.(사진=뉴시스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일자리 사안에 대응, 연내 15만개 수준의 신규 창출을 목표로 내세웠다.
청년과 여성층을 중심으로 한 일자리 확보와 경제활력 제고와 서비스산업 활성화, 취약계층 일자리 개선 등 3대 중점 추진 방안에 대해서도 무거운 책임감을 바탕으로 수행할 것을 강조했다.
9일 홍 부총리는 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활력대책회의를 통해 국민 체감이 가능한 보다 확실한 변화를 추구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기획재정부가 이날 발표한 ‘2018년 12월 및 연간 고용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 수 증가는 9만7,000명 수준으로,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듬해인 2009년(-8만7000명)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홍 부총리는 ▲생산가능인구(15세~64세) 감소 ▲자동차‧조선 등 주력산업의 구조조정 ▲자영업 업황 부진 등이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12월 취업자 수 9만7천여 명…2009년 이후 최저치
특히 홍 부총리는 ‘일부 정책적 요인’이 고용 부진에 악영향을 끼쳤다고 말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사회적 후폭풍을 사실상 정부 차원에서 인정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홍 부총리는 “오늘 발표된 고용지표가 양적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미흡하다”면서 “일자리가 국민의 삶의 터전이고 기본이 된다는 점에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일자리 15만개 창출’이란 구체적 목표를 제시, 올 상반기 중 ▲전방위적 경제활력 제고 ▲고용창출력 높은 서비스산업 활성화 ▲청년·여성·어르신 고용상황 개선 등에 정책 초점을 맞추고 추진할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선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삼성동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투자 등 민간프로젝트에 대한 진행 상황도 보고됐다.
홍 부총리는 현대자동차의 GBC 프로젝트와 관련해 그제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를 통과했으며, 이후 서울시 허가 과정을 거쳐 올 상반기 착공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아울러 앞으로는 연 180일 이내로 제한해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도시민박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는 공유경제 활성화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정부의 품질인증을 받은 숙박업소는 융자‧세제 지원에 대한 수혜가 기존 대비 확대된다. 또한 공유경제 관련 과세기준 정비, 산재보험 적용대상 확대 등 제도적 뒷받침 노력도 병행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