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성 상봉으론 부족…신속하고도 근본적 대책 마련”
 |
▲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이산가족 문제 해결 남북당국회담 제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시급성을 요하는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남북 당국간 회담을 북한에 공식적으로 제의했다.
◆ 13만 신청자 중 9만 명 사망
권 장관은 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통일부 장관 명의의 담화를 발표하고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남북 당국간 회담을 조속히 개최할 것을 북측에 전격 제안했다.
권 장관은 “올 추석에도 수많은 이산가족들이 가족과 고향을 그리워하며 쓸쓸한 명절을 보낼 것으로 예상된다”며 “통일부 장관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했다.
그러면서 “체제·이념이 가족을 갈라놓을 수는 없다. 남북당국은 아픈 현실을 솔직히 대면해야 할 것”이라며 “한 달에만 이산가족 400여 분이 세상을 떠난다. 남아계신 4만 여분도 80~90대의 고령이다. 이산가족이라는 단어 자체가 사라지기 전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거와 같은 소수 인원의 일회성 상봉으로는 부족하다. 당장 가능한 모든 방법을 활용해 신속하고도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정부는 언제 어디서든 어떤 방식으로든 이산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다면 모든 노력을 기울여 나갈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또 “남과 북의 책임 있는 당국자들이 빠른 시일 내에 직접 만나 이산가족 문제를 비롯한 인도적 사안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정부는 열린 마음으로 북한과의 회담에 임할 것이며 회담 일자나 장소, 의제, 형식 등도 북측 희망을 적극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이산가족 생존자는 날로 줄어들면서 이산가족 문제 해결은 시급한 실정이다.
8월 말 기준 이산가족찾기 신청자는 총 13만3,654명이다. 그러나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등 한반도 정세가 급랭하면서 지난 2018년 8월 이후 4년 넘게 상봉은 중단된 상태다. 그 사이 9만 명 넘는 이산가족이 세상을 떠났다.
현재 생존자는 4만3,746명으로 90세 이상은 29.4%, 80대는 37.0%로 80세 이상이 3분이 2를 차지한다. 평균 연령은 82.4세다.
신청자 중 가족을 만난 상봉자는 2.28% 수준에 그친 가운데, 이산가족 대면 상봉은 2018년 8월까지 21차례, 화상상봉까지 더하면 총 28차례 각각 이뤄졌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