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내 직장인 다수는 이번 임시국회 회기 내 긴급재난지원금 처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대통령의 긴급재정명령권 발동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코로나19 사태 이후 정부가 꺼내든 긴급재난지원금 확대(70%→전 국민) 정책에 대다수 직장인들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인 10명 중 6명 이상은 이번 임시국회 회기 내 지급 결정이 미뤄지면 대통령의 긴급재정명령권 발동까지 불사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 ‘지원금 기부’ 형태에는 의견 분분
직장인앱 블라인드는 지난 23일부터 4일 동안 국내 직장인 13,758명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을 진행한 결과, 재난지원금 확대안에 67.4%가 찬성했으며 지급이 연기될 경우 청와대가 긴급재정명령권을 발동해야 한다고 응답한 직장인도 61.2%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먼저 ‘재난지원금 지급 범위를 전 국민으로 확대한 당정 합의안을 어떻게 보십니까?’라는 질문에 직장인 응답은 ‘찬성(67.4%)’, ‘반대(26.6%)’, ‘잘 모르겠다(6.0%)’로 각각 나타나 찬성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한국은행 재직자는 재난지원금 지급 확대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84.6%에 달해 전체 직장인 평균 대비 매우 높았다. ‘공무원’ 응답자는 ‘찬성(53.6%)’, ‘반대(37.7%)’, ‘잘 모르겠다(8.7%)’였으며, 금융감독원 재직자는 ‘찬성(61.1%)’, ‘반대(38.9%)’로 전체 직장인 평균보다 다소 낮았다.
![]() |
ⓒ 블라인드. |
이런 가운데 재난지원금 지급의 핵심이 ‘신속성’에 있다는 데 대해서도 과반수가 넘는 한국 직장인이 동의한 것으로 분석됐다.
‘여야 합의 불발 시 긴급재정명령권을 발동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한국 직장인들은 ‘찬성(61.2%)’, ‘반대(26.6%)’, ‘잘 모르겠다(12.2%)’고 각각 응답했다. 찬성이 반대 응답의 두 배가 넘는 셈이다.
다만 지원금 ‘기부’를 통한 재원 마련의 절차적 정당성에서는 직장인 의견이 분분했다.
‘재난지원금 기부를 통한 재원 마련이 합법적 절차가 아니라는 지적을 어떻게 보십니까?’라는 질문에는 ‘(지적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0.3%, ‘동의한다’는 34.5%로 나타났다. 특히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25.2%에 달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특정 답변에 과반의 응답이 몰리고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0% 안팎에 불과했던 앞선 두 항목과는 다른 양상으로 직장인들은 지원금 기부 형태를 다소 생소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모습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