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8년 당시 현장에서 찍은 건설오니 모습. |
[세계로컬타임즈 최성우 기자] 지난 2018년 인천시 서구 가정동 택지개발지구 당시 LH 루원사업단 등에서 서구에 대량의 건설 폐기물을 묻은 것으로 뒤늦게 드러났다.
당시 LH 루원사업단은 건설 오니 처리에 천문학적 복구 비용이 들어가야 해결되기에 건설사와 기관들은 원상복구는 커녕 모르쇠로 일관했던 것으로 나타나 지탄을 받고 있다.
![]() |
▲ 건설 오니를 적재한 트럭이 매립현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
특히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행정기관인 서구청은 이를 단속해 조속히 원상복구를 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뒷짐을 지고 있어 더욱 우려되고 있다.
오니를 치우고 원상복구하려면 비용만 약 300억 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당시에 어떤 방식으로 매립했는지 철저한 조사가 요구되며, 더욱 심각한 것은 서구 일부 지역의 경우 지하수도 먹기 어려울 정도로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 |
▲ 당시 택지개발 현장을 굴삭기로 파고 건설오니를 묻는 모습. |
이와 관련, 기업과 관청에서 시민들을 환경오염의 우려없이 깨끗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도록 하는 의무를 저버린 점에 대해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기관에서도 나서기 보다 나몰라라 식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건설 오니 등으로 인해 환경이 훼손되는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들어나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언론에서 탐사취재를 통해 지적해도 모르쇠로 일관하면 더욱 심각해진다. 행정기관의 직무유기로 인해 시민들과 환경단체는 “후손들이 살아가야 할 국토를 보호하지 않으면 공멸할 것”이라며 비난하고 있다.
![]() |
▲ 루원사업 현장에서 대형 트럭이 나가고 있다. |
기관은 관리·감독하는 곳으로 물증이 확인되면 당사자에게 원상복구를 요구해야 함에도 오히려 두둔하는 듯 행동한다든지 공범의구심이 든다든지 하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이런 오해를 받지 않으려면 철저한 진상조사와 원상복구가 선행돼야 한다.
인천시는 환경·복지를 외치고 있지만, 현실은 다르다. 환경보호를 강조하려면 이런 대량의 폐기물을 그대로 둘 것이 아니라 원상복구를 하도록 행정지도를 해야 마땅하다.
![]() |
▲ 루원사업단에서 건설 오니를 싣고 나오는 모습. |
LH 루원사업단 관계자는 지난 2018년 당시 서구 폐기물 무단 매립에 대해 조속히 원상복구를 하겠다고 말했지만 2020년 3월 현재 폐기물 매립에 대해서 아무런 조치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 |
▲ 현장에서 시멘트가 빨리 굳어지도록 벤토나이트를 섞고 있는 모습. 이 건설오니가 매립장으로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
따라서 서구청 폐기물 단속부서는 건설 오니 폐기물 매립에 대해 적법하게 단속 처리해야 한다. 또한, 토양오염 부서는 가정택지지구 2지역에 해당 토양보전법에 따라 토양오염도 검사를 통해 문제가 되는 사안에 적극적으로 나서서 오해를 해결해야 한다.
![]() |
▲ 가정동 택지지구 건설오니 매립된 모습과 진입로가 루원사원단 부지를 매립자에게 허가를 내주고 매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